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김마리아

다른 표기 언어 金瑪利亞
요약 테이블
출생 황해 장연, 1891(고종 28)
사망 1944.03.13
국적 한국

요약 1910년 정신여학교를 졸업한 뒤 광주 수피아여학교와 모교에서 교사를 지냈다. 1915년 도쿄 여자학원 예비과에 입학한 후 1918년 동경유학생독립단에 가담했으며, 1919년 2·8독립운동에 참가했다. 2·8독립선언서를 가지고 귀국하여 각지를 돌아다니며 독립사상을 고취하다가 체포되어 서대문형무소에서 5개월의 옥고를 치렀다.
석방 후 모교에서 교편생활을 하면서 대한민국애국부인회를 조직하고 회장에 추대되었다. 임시정부 군자금 지원에 힘쓰던 중 비밀조직이 탄로나, 3년 형 선고를 받았다. 복역중 병보석으로 풀려나와 1921년 상하이로 망명했다. 1923년에 미국으로 건너가 파크대학과 시카고대학교 등에서 공부했다. 근화회를 조직하여 재미한국인의 애국정신 고취와 일제의 식민정책을 서방국가에 알리는 데 노력했다. 귀국하여 그리스도교 전도사업과 신학발전에 노력했다. 1962년 건국훈장 국민장이 추서되었다.

김마리아(金瑪利亞)

ⓒ JeongAhn/wikipedia | Public Domain

본관은 광산. 아버지는 윤방(允邦), 어머니는 김몽은(金蒙恩)이며, 김규식(金奎植)의 처제이다. 그리스도교 집안에서 태어나 아버지가 세운 소래국민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로 올라와 1910년 정신여학교(貞信女學校)를 졸업했다. 그뒤 광주 수피아여학교와 모교에서 교사를 지냈다. 1914년 일본 히로시마[廣島]의 긴조 여학교[錦城女學校]와 히로시마 여학교에서 수학한 뒤, 1915년 도쿄 여자학원[東京女子學院] 예비과에 입학했다. 1918년말경 동경유학생독립단에 가담했으며, 1919년 2·8독립운동에 참가했다. 2·8독립선언서를 가지고 귀국하여 각지를 돌아다니며 독립사상을 고취하다가, 일제 경찰에 체포되어 서대문형무소에서 5개월의 옥고를 치렀다.

석방 후 모교에서 교편을 잡으면서 기존의 애국부인회를 바탕으로 9월에 대한민국애국부인회를 조직하고 회장에 추대되었다. 임시정부 군자금 지원에 힘쓰던 중 11월 오현주(吳玄洲)의 배신으로 비밀조직이 탄로나, 3년 형 선고를 받았다. 복역중 병보석으로 풀려나와 1921년 상하이로 망명했다. 상하이에서 상하이애국부인회 간부, 의정원 의원으로 활약하면서, 난징[南京]의 진닝대학[金陵大學]에 다녔다.

1923년 6월에 미국으로 건너가, 1924년부터 파크대학에서 2년간 수학하고, 1928년 시카고대학교에서 사회학석사학위를 받았다. 1930년에는 뉴욕 비블리컬 세미너리에서 신학을 공부했다. 이곳에서 황에스터·박인덕(朴仁德) 등과 근화회(槿花會)를 조직하여 회장이 되고, 재미한국인의 애국정신 고취와 일제의 식민정책을 서방국가에 알리는 데 노력했다. 그뒤 원산에 있는 마르타윌슨 신학교에서 신학 강의만을 한다는 조건으로 귀국하여, 그리스도교 전도사업과 신학발전에 노력했다. 1962년 건국훈장 국민장이 추서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독립운동가

독립운동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김마리아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