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생 | 1416(태종 16) |
---|---|
사망 | 1464(세조 10) |
국적 | 조선, 한국 |
요약
세종대의 천문학자로 이순지와 함께 천문과 역법 발전에 크게 이바지했다.
1435년(세종 17) 정시문과에 급제하여 홍문관정자가 되었다. 1436년 간의대에서 천문을 관측하는 일을 맡았다. 1439년 집현전박사가 되어, 이순지와 함께 우리나라를 기준으로 한 최초의 역법서인 <칠정산 외편>을 편찬했다. 또한 왕명으로 원나라 수시력법과 명나라 대통력태양태음통궤를 참작하여 <칠정산 내편>도 만들었다. 1447년 왕명으로 <전부구등지법>을 지었다. 같은 해 문과 중시에 급제하고, 1448년 서운관부정으로 있으면서, 역법과 관측의 일을 계속했다. 그 뒤 충주목사, 안동부사, 경주부윤을 거쳐 이조판서를 지냈다. 저서로 <김문절공일고>, <제가역상집>등이 있다.
세종대의 천문학자로 이순지(李純之)와 함께 천문·역법 발전에 크게 이바지했다.
본관은 예안. 자는 거원(巨源), 호는 무송헌(撫松軒). 할아버지는 고려 때 중랑장 노(輅)이고, 아버지는 현감 효량(孝良)이다.
1435년(세종 17) 정시문과에 급제하여 홍문관정자가 되었다. 1436년 간의대에서 천문을 관측하는 일을 맡았다. 1439년 집현전박사가 되어, 이순지와 함께 우리나라를 기준으로 한 최초의 역법서인 〈칠정산 외편 七政算外篇〉을 편찬했다. 또한 왕명으로 원나라 수시력법과 명나라 대통력태양태음통궤를 참작하여 〈칠정산 내편 七政算內篇〉도 만들었다.
1444년 경기도 안산지방의 양전을 실시하고, 이어 제언종사관으로 언제공사의 계산을 담당했다. 1447년 왕명으로 〈전부구등지법 田賦九等之法〉을 지었다. 같은 해 문과 중시에 급제하고, 1448년 서운관부정으로 있으면서, 역법과 관측의 일을 계속했다. 그뒤 충주목사·안동부사·경주부윤을 거쳐 이조판서를 지냈다.
〈칠정산 내편〉·〈칠정산 외편〉·〈대통력일통궤 大統曆日通軌〉·〈태양통궤 太陽通軌〉·〈태음통궤 太陰通軌〉 등 많은 천문·역서를 정인지(鄭麟趾)·정초(鄭招)·정흠지(鄭欽之)·이순지 등과 함께 교정, 편찬했다. 저서로 〈김문절공일고 金文節公逸稿〉·〈제가역상집 諸家曆象集〉 등이 있다. 시호는 문절(文節)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