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김구

다른 표기 언어 金坵 동의어 김백일, 金百鎰, 차산, 次山, 지포, 止浦
요약 테이블
출생 1211(희종 7)
사망 1278(충렬왕 4)
국적 고려, 한국

요약 고려 말기의 문신.

본관은 부령. 초명은 백일, 자는 차산, 호는 지포. 고종 때 문과에 급제한 뒤 저원부사록, 제주판관 등을 지냈다.

원종 때 예부시랑이 되어 원나라에 관한 여러 문서를 맡아보았으며, 서장관으로 원나라에 다녀와서 〈북정록〉을 남겼다. 그뒤 우간의대부·추밀원부사·정당문학·중서시랑평장사 등을 거쳐 1274년 충렬왕이 즉위한 이후 지첨의부사·참문학사·판판도사사 등을 지냈다. 옛 사람의 명문을 본떠서 말을 다듬는 것을 거부하고 거칠더라도 현실을 생생하게 읊었다.

고려가 원나라에 복속된 다음에 사신으로 임명받아 가는 길에 지은 시는 대몽항쟁의 문학으로 손꼽힌다. 특히 평안북도 철주를 지나며 몽고군에 대항한 이원정의 충정을 읊은 〈과철주 過鐵州〉는 대표적이다. 이규보가 죽으면서 자기의 뒤를 이을 사람으로 최자(崔滋)와 함께 추천했다.

저서로는 〈지포집〉이 있고, 시호는 문정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김구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