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국부적이거나 광역적 규모의 기상상태를 인위적으로 변화시키는 것.
매일매일의 날씨는 환경을 구성하는 주요한 요소이며, 인간생활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농업·축산업·수송·인간의 건강과 안전 등은 날씨에 큰 영향을 받게 된다. 그러므로 환경과 관련된 인간의 가장 오랜 관심 중 하나가 목적에 맞게 날씨를 조절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기상조절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왔으며, 그중 일부는 성공하기도 했다. 과수원과 같은 곳에서 임시 덮개를 설치하는 방법이나 거대한 환풍기를 이용하여 지표면의 찬공기와 수m 상부의 따뜻한 공기를 혼합하는 방법, 물을 뿌려줌으로써 물방울 응결시 발생하는 잠열을 공기중으로 방출시키는 법 등 밤 사이에 기온이 하강하는 것을 막기 위한 간단한 방법들이 어느 정도 성공한 기상조절의 예이다.
1946년 이후로는 강수량을 증대시키기 위해 '구름씨 뿌리기'(cloud seeding)로 알려진 방법이 사용되었다. 이는 지상의 발전기나 비행기 등을 이용하여 구름 속에 응결핵을 뿌려줌으로써 인공강수를 일으키는 방법이다. 때로는 비행기를 이용하여 고체상태의 이산화탄소 결정(드라이아이스)을 뿌려 구름을 냉각시켜 응결이 일어나도록 하는 방법도 이용되었다. 이러한 2가지 방법은 자연적 강수과정을 증대시키는 방법으로 사용되었지만, 이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에 사용된 인공강수보다 더 복잡하고 덜 효과적인 방법이다.
지구상의 여러 지역에서 인공강수 방법에 의한 강수량의 다소간 증가가 많이 보고되었으나, 반면 강수량 증대를 위해 행해진 몇몇의 실험들에서는 강수량 감소결과도 관측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강수 형성에는 아직 알려지지 않은 또다른 요인이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구름씨 뿌리기를 이용한 인공강수 방법으로부터 얻어진 지식들은 강수 이외의 다른 여러 용도에도 유용하게 쓰인다.
한 예로 요오드화은을 이용하여 우박을 억제하고 완화시키는 방법이 있다. 이를 위해 우박형성에 필요한 과냉각수적들이 많이 존재하는 적란운의 중앙부에 로켓이나 포탄을 이용하여 요오드화은을 살포하는 방법이 이용된다. 우박입자 수를 증가시켜 크기를 감소시키고 파괴력을 감소시킨다. 또한 공항에서는 인위적으로 안개를 없애기 위해 물이 액체상태로 존재하는 구름의 빙점 아랫부분에 요오드화은을 살포하는 방법이 이용되기도 한다.
산업발달과 대도시의 빠른 성장은 국부적인 기후에 다소의 변화를 가져왔으며, 앞으로는 더욱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도시 산업화의 영향으로 따뜻해진 공기는 상승하게 되고 이로 인해 대류가 일어나게 됨으로써 오염물질이 대기 중으로 확산된다. 상승기류에 의해 오염물질이 상층대기로 확산되게 되면 응결핵의 수가 증가하게 되어 강수량과 겨울안개 형성이 증가하게 된다.
더욱이 화석연료(기름·천연가스·석탄 등)의 연소로 인해 연간 수십억t의 이산화탄소가 대기 중으로 유입되어 온실효과를 일으킴으로써 지구의 평균기온을 상승시키게 된다. 또한 아마존 분지와 다른 여러 지역에서는 산림 벌채에 의해 광합성 작용량이 감소됨으로써, 심한 환경문제를 야기시키는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 양은 더욱 증가된다(→ 온실효과).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지구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