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문화재 지정 | 국보(1962.12.20 지정) |
---|
요약 고려시대 금동불감. 금동으로 주조된 이 불감은 난간을 돌린 네모난 기단 위에 가옥 모형을 얹은 전각형 불감으로 기단과 전각부가 분리되도록 만들어졌다. 전각 네 모서리의 원형기둥은 배흘림이 뚜렷하고 네 모서리의 기둥 위와 기둥 사이에 공포를 표현했으며, 전각의 앞면과 양 옆면을 넓은 창으로 개방했다. 삼존상 중 본존불은 연화좌 위에 앉아 있으며 그 밑의 네모난 대좌는 상대와 하대가 층단으로 연결되어 있다.
국보(1962.12.20 지정). 높이 18㎝, 본존불 높이 10㎝, 좌협시보살 8.1㎝, 우협시보살 7.7㎝. 간송미술관 소장. 금동으로 주조된 이 불감은 난간을 돌린 네모난 기단 위에 가옥(家屋) 모형을 얹은 전각형(殿閣形) 불감으로 기단과 전각부가 분리되도록 만들어졌다. 내부에는 따로 주조된 삼존불좌상을 안치했다. 불감의 지붕은 기왓골이 표시된 우진각형이며 용마루 양끝에 치미를, 귀마루 4곳에는 2개씩의 봉두형(棒頭形) 장식을 세워놓았다.
전각 네 모서리의 원형기둥은 배흘림이 뚜렷하고 네 모서리의 기둥 위와 기둥 사이에 공포(栱包)를 표현했으며, 전각의 앞면과 양 옆면을 넓은 창(方窓)으로 개방했다.
삼존상 중 본존불은 연화좌 위에 앉아 있으며 그 밑의 네모난 대좌는 상대와 하대가 층단으로 연결되어 있다. 부처의 머리는 나발이며 고개를 약간 숙인 채 눈을 내리뜨고 있다. 상체가 가늘고 길며 하체는 더욱 빈약하게 표현되었다. 오른손은 시무외인으로 높이 들고 왼손은 무릎 위에 걸치고 있다. 거의 음각선에 가깝게 간략히 표현된 통견(通肩)의 옷주름이나 얼굴의 이목구비 표현, 손 모양은 매우 치졸한 조각솜씨를 보여준다. 광배는 두광과 신광이 연결되었고 그 둘레를 따라 끝이 뭉툭하고 형태가 정연하지 못한 불꽃 무늬가 투각으로 장식되어 있다. 두 협시보살입상은 손 모양과 자세가 거의 대칭을 이루며 제작수법이나 광배 형태까지 본존과 비슷하다.
두 보살은 꽃 모양이 음각된 높은 삼면보관을 쓰고 있으며, 3줄의 연주(連珠) 장식이 늘어진 목걸이나 천의(天衣) 및 군의의 옷주름은 음각으로 거칠게 표현되었고, 두 무릎 밑으로는 옷주름이 여러 겹으로 신체에 밀착되어 있다. 정교하게 표현된 감실은 통일신라나 고려 전기의 건축양식을 반영한 것으로, 기둥 사이에 표현된 공포는 다포계로 볼 수도 있으나 고려말에 유행한 다포식과는 다른 단조로운 포작(包作)을 이루고 있어 건축양식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
감실과 별도로 제작된 삼존상의 광배형식이나 기본구성은 통일신라의 전통을 따르면서 광배나 보살의 보관형태 및 조각수법 등은 고려 초기 불상의 양식적 특색을 보여준다.→ 금동불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고려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