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금동보살삼존입상

다른 표기 언어 金銅菩薩三尊立像 동의어 국보 134호
요약 테이블
문화재 지정 국보(1963.01.21 지정)

요약 삼국시대 금동보살삼존입상. 강원도 춘천에서 출토되었다고 전하며 소상이나 조각솜씨가 정교하고 우수하다. 본존보살상은 얼굴이 길고 3개의 원판으로 구성된 보관을 쓰고 있으며 관띠가 얼굴 옆으로 길게 늘어져 있다. 좌우의 승상은 본존에 비해 크기가 작으며 합장을 하고 서 있는데 세부표현이 단순하다. 보살상의 도상이나 전체적인 조각솜씨로 보아 6세기 불상으로 추정되며, 제작지는 삼국 중 어느 나라에 속하는지 규정짓기 어려우나 고구려로 보는 견해가 있다.

국보(1970.12.30 지정). 높이 8.8㎝. 호암미술관 소장. 강원도 춘천에서 출토되었다고 전하며 소상(小像)이나 조각솜씨가 정교하고 우수하다. 6세기에 유행한 일광삼존불(一光三尊佛) 형식으로 본존상은 보살이고, 좌우협시상은 승려인 독특한 구성을 보인다.

본존보살상은 얼굴이 길고 3개의 원판(圓板)으로 구성된 보관을 쓰고 있으며 관띠가 얼굴 옆으로 길게 늘어져 있다. 천의는 어깨에 둥근 장식이 있고 몸 앞에서 교차되어 양팔에 걸쳐 좌우로 길게 탄력적으로 뻗쳐 있다. 이와 비교되는 보살상으로는 고구려작으로 알려져 있는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의 금동보살입상(보물, 1963.01.21 지정)과 도래불(渡來佛)로 전하는 일본 선형산신사(船形山神寺) 소장의 금동보살입상을 들 수 있다.

좌우의 승상은 본존에 비해 크기가 작으며 합장을 하고 서 있는데 세부표현이 단순하다. 승상의 얼굴형태에서 왼쪽의 상이 좀더 나이가 들어 보이고 오른쪽은 젊은 승려로 보인다. 광배는 주형(舟形)으로 두광과 신광이 3겹의 선으로 구획지어져 있고 두광 안에는 연꽃 무늬가 장식되어 있다. 광배의 가장자리에는 불꽃 무늬가 매우 치밀한 형태로 선각되어 있다. 대좌는 반구형으로 연꽃 무늬가 선각되어 있다.

보살상의 도상이나 전체적인 조각솜씨로 보아 6세기 불상으로 추정되며, 제작지는 삼국 중 어느 나라에 속하는지 규정짓기 어려우나 고구려로 보는 견해가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금동보살삼존입상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