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규범

다른 표기 언어 規範

요약 규범은 사회구성원의 의식으로 내화되거나(외적인 보상이나 처벌이 없이 순종하도록 개인에게 통합되는 경우), 실제적 또는 부정적인 제재수단에 의해 강제되기도 한다. 어떤 규범을 공유하는 사회 단위는 작을 수도 있고, 사회의 모든 구성원을 포함할 만큼 광범위한 것일 수도 있다. 규범은 가치나 이념보다 구체적이다. 예를 들어 정직함은 일반적인 가치지만 구체적인 상황에서 무엇이 정직한 행동인가를 규율하는 규칙은 규범이다. 사람들이 사회규범을 따르는 이유에 대해 기능주의학파는 규범의 합의, 즉 사회화를 통해 발전된 공동의 가치체계를 반영하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개인이 자기 집단의 문화를 습득한다고 주장한다. 이들의 주장에 따르면 규범은 사회체제의 기능에 공헌하며, 그 체제가 요구하는 필요에 맞도록 발전한다는 것이다.

규범은 사회구성원의 의식 속으로 내화되거나(외적인 보상이나 처벌이 없이 순종하도록 개인에게 통합되는 경우), 실제적 또는 부정적인 제재수단에 의해 강제되기도 한다. 어떤 규범을 공유하는 사회 단위는 작을 수도 있고, 사회의 모든 구성원을 포함할 만큼 광범위한 것일 수도 있다. 규범은 가치 또는 이념보다 구체적이다.

예를 들어 정직함은 일반적인 가치이지만 구체적인 상황에서 무엇이 정직한 행동인가를 규율하는 규칙은 규범이다.

일반적으로 규범은 사회적 규범으로 존재하며, 강제의 정도에 따라 3단계로 나뉜다. 첫째, 관습 등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사회생활의 반복적인 관행에 의해서 사람들의 생활과 행동을 규제하는 것으로 이를 위반한 경우에는 자신이 속한 공동체의 이웃으로부터 경멸감이나 소외 등의 심리적 제재를 받는다. 둘째, 도덕적 규범으로 이를 위반한 때에는 공동절교 등 물리적 제재를 받는다.

본래 사람들의 행동을 규제하고 있는 것은 이 단계의 규범인데, 이것은 비록 성문화되어 있지는 않지만 일상적인 행동에 대해 강력한 규제력을 가지고 있다. 셋째, 제재의 주체가 어떤 형태이든 공적인 성격을 띠어서 권력을 가지는 경우이다.

규범은 전형적으로 법이라는 형식을 취하며 재판 등을 통해 공적 제재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상이한 형태의 규범들은 단계적으로 이해될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한 사회에서는 이들이 함께 공존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사람들이 사회규범을 따르는 이유에 관하여는 기능주의학파와 갈등주의학파 등으로 나뉜다. 기능주의학파는 규범의 합의, 즉 사회화를 통하여 발전된 공동의 가치체계를 반영하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한 개인은 자기 집단의 문화를 습득한다고 주장한다.

이들의 주장에 따르면 규범은 사회체제의 기능에 공헌하며, 그 체제가 요구하는 필요에 맞도록 발전한다는 것이다. 한편 갈등주의학파는 규범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사회문제를 다루기 위한 메커니즘이라고 규정한다.

주로 갈등이론을 주장하는 마르크스주의자들은 규범이 사회의 한 집단의 다른 집단에 대한 지배를 반영하며 강제와 제재를 통해 사회규범체계가 사회의 제반 정치적·경제적 관계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규범은 한 계급 또는 신분이 다른 계급을 지배하거나 착취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발생한다고 주장한다. 그렇지만 어떠한 학파도 사회내의 관계들을 정확하게 설명하고 있다고 볼 수는 없다.

규범은 한 사회집단의 통계적인 결정기준이나 평균적인 행위·태도·견해를 의미하기도 한다. 이런 관점에서의 규범은 예상되는 행위보다는 실제적인 행위를 의미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사회

사회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규범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