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군산 발산리 석등

다른 표기 언어 群山鉢山里石燈 동의어 보물 제234호

요약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개정면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석등.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석등. 보물 제234호. 높이 2.5m, 받침돌 폭 1.17m. 1963년 1월 21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원래 완주군 고산면 삼기리 봉림사 터에 있던 것을 일제강점기에 지금의 자리로 옮겼다. 3단의 받침돌 위에 화사석을 두고 위로 지붕돌과 머리장식을 얹은 모습이다.

사각형의 받침돌과 원형의 아래받침돌이 하나의 돌로 구성되어 있으며, 아래받침돌은 연꽃잎이 아래로 향한 복련이다. 4각의 네 모서리를 둥글게 깎은 가운데기둥은 목조건물의 배흘림기둥 형태를 띄고 있으며, 표면에 구름무늬와 용무늬를 돌려 새겼다. 위받침돌은 8각으로 꽃잎이 위로 향한 앙련이다.

화사석은 4각의 모서리를 둥글게 깎아 만들었으며, 각 면에는 4개의 창을 내고 그 사이에 사천왕상을 새겼다. 화사창은 타원형으로, 넓고 도톰한 창틀을 갖추고 있다. 지붕돌은 8각으로 모서리선이 뚜렷하며, 처마 끝이 살짝 치켜올려져 있다. 꼭대기에는 연꽃무늬가 조각된 머리장식 받침대를 마련해 놓았으나, 머리장식은 남아 있지 않다. 석등을 만든 시기는 10세기경으로 추정되고 있다.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개정면 바르메길 43번지에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통일신라

통일신라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군산 발산리 석등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