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특정한 지은이 없이 집단으로 만들어져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는 노래.
구비전승되는 공동작이라는 점에서 민요와 공통성이 있으나 민요가 주로 전근대 농촌이나 어촌 등 공동사회의 산물임에 반해, 구전가요는 도시화·자본주의화가 시작된 이후에 만들어졌다.
민요가 그 시대 사람들에게 가장 많이 불렸다면, 근대 이후의 대중들에게 가장 익숙한 노래는 대중가요이다. 즉 구전가요는 민요처럼 당대 대중들의 중심적 노래문화의 위치를 차지하지 못하고 있으며, 그렇다고 지배적 노래문화인 대중가요에 대한 의식적인 대항문화의 성격도 없다.
구전가요는 대중의 지배적 노래문화인 대중가요와 공존하면서 대중가요만으로는 채워지지 않는 부분을 충족시켜주는 일종의 하위문화이다. 주로 전승되는 곳은 집단적으로 많은 시간을 함께 하는 군대·고아원·학교·형무소 등이며, 그밖에 소모임이나 술자리에서 많이 향유된다.
사회의 어두운 측면을 생생하게 담고, 규범·권위·체면 등을 거부하는 욕설과 음담패설을 포함하는 경우가 많으며, 세태풍자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 단 고무줄노래 등의 구전동요는 세태풍자나 욕설이 섞여 있지 않고 다양한 내용을 담고 있다. 뽕짝·창가풍 등 그 시대 대중들에게 가장 익숙한 악곡으로 되어 있거나, 이미 발표되었던 노래의 악곡을 이용하는 경우도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음악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