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광주역사민속박물관

다른 표기 언어 Gwangju history & folk museum , 光州歷史民俗博物館 동의어 광주광역시역사민속박물관
요약 테이블
설립 1963년 5월 (재개관 1987년 11월)
소재지 광주광역시 북구 사하로 48-25
사이트 https://www.gwangju.go.kr/gjhfm/

요약 광주광역시 북구 용봉동에 있는 박물관. 정식명칭은 '광주광역시역사민속박물관'이다. 사라져가는 역사와 민속자료의 수집, 민속문화 원형의 발굴과 보존, 민속문화의 전승을 위한 민속전시장의 필요성의 목적으로 조성되었다. 도립광주박물관으로 출범하였으며 민속박물관 설립의 계획에 따라 광주직할시립미술관이 설립되었고 1995년 광주광역시립민속박물관으로 개칭되었다. 2020년 개보수를 거쳐 6월 1일 광주광역시역사민속박물관으로 개칭되었다.

광주광역시 북구 운암동에 있는 시립박물관. 1984년 10월 민속박물관 설립 계획에 따라 개관되었다. 1963년 5월 도립광주박물관으로 출범하였고 1978년 10월 매장문화재 관리업무가 국립광주박물관으로 이관되면서 보관 중이던 유물 10만 2,158점을 인계했다. 민속박물관 설립의 계획에 따라 1984년 10월 폐관된 후 1987년 11월 광주직할시립미술관이 개관하였으며 1995년 10월 지방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광주광역시립민속박물관으로 개칭되었다. 2020년 역사공간을 구축하고 건물을 개보수한 후 6월 1일 '광주광역시역사민속박물관(약칭 광주역사민속박물관)'으로 개칭되었다. 2024년 故김대중 대통령의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면서 기획전시 <김대중, 다시 광야에서>를 개막했다.

광주시와 전라남도 지역의 민속문화를 총체적으로 전시·연구·교육하기 위한 민속박물관으로 기획되어 민속문화의 원형이 훼손되지 않았던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 계층적으로는 중류 농가를 기준으로 이 지역의 역사와 민속문화의 원형을 수집·보존·전시하고, 사회교육과 전시회, 조사연구, 간행물 발행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지상 2층 지하 1층에 의식주생활, 생업, 민소공예, 일생의례, 세시풍속, 사회 문화, 기증자료, 광주역사사진전 등의 전시공간은 물론 7만㎡가 넘는 야외전시장에 100여 점의 민속자료와 시설물이 조성되어 있다. 고려말 문신 정지(1347~91)의 갑옷인 보물 제336호 정지장군 환삼 등 12점의 문화재를 포함 250여 점의 유물과 도서를 소장하고 있으며, 관외에서는 무등산 분청사기 전시실과 월계동 장고분이 관리되고 있다.

조직은 관장 산하에 학예연구실과 관리담당으로 구성되어 있다. 관리담당 밑에는 분청사기전시실과 월계동장고분이 있다.

박물관은 광주광역시 북구 서하로 48-25에 소재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광주역사민속박물관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