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광주시립미술관

다른 표기 언어 Gwangju Museum of Art , 光州市立博物館
요약 테이블
설립 1992년 8월 1일
소재지 광주광역시 북구 하서로 52
사이트 http://artmuse.gwangju.go.kr

요약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공립미술관. 광주와 전라남도민들의 문화 예술 욕구를 충족시키고 미술문화를 대중화하기 위해 1992년에 설립되었다. 북구 운암동의 본관 및 사진전시관, 서구 농성동의 하정웅미술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정웅미술관은 2,523점의 작품을 기증한 하정웅 선생의 정신을 기리기 위해 본래 상록전시관이었던 곳을 2017년 3월에 하정웅미술관으로 개편했다.

광주광역시 북구 운암동과 서구 농성동 일대에 소재한 공립 미술관. 1992년 8월 1일 개관했다. 1995년 9월 비엔날레관을 개관하고, 2008년 9월 상록전시관을, 2016년 10월 G&J광주전남갤러리 인사동을 개관했다. 본관과 사진전시관 이외에 금남로 분관, 하정웅미술관, G&J광주전남갤러리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광주시립미술관

ⓒ 연합뉴스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광주시립미술관 본관에서는 6개의 전시실과 어린이 갤러리, 창작교실과 창작지원실 등의 시설이 운영되고 분관인 하정웅 미술관에는 5개의 전시실이 마련되어 있다. 광주광역시립미술관은 시민들의 문화시설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도심 인구밀집 지역인 동구 금남로2가에 금남로 분관을 개관하고, 국내외 유수 작가들의 작품을 감상할 수 있는 독자적인 전시 기획이나 본관 전시와 연계한 기획전을 개최하고 있다.

광주시립미술관 하정웅미술관은 옛 전남도지사 공관을 2006년부터 용도 변경해 사용해 오던 분관 상록미술관을 2017년 3월에 지금의 하정웅미술관으로 개편한 것이다. 1993년 제1차 기증부터 2014년 제6차 기증까지 총 2,523점의 미술품을 기증한 개인 소장가 하정웅 선생을 기념하기 위해 개편되었다.

2008년에는 지역출신 작가들에게 작품발표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서울 인사동에 시립미술관 직영 갤러리 ‘Light’를 개관하기도 했다. 2009년 12월에는 전국 국공립 미술관에서는 최초로 중국 베이징[北京]에 창작센터를 개관해 광주 지역의 미술을 세계에 알리기 위해 노력해왔다. 2016년 10월에는 G&J 광주전남갤러리 인사동관을 개관했으며, 청년예술인 지원센터를 개관했다. 2017년 북경창작센터를 송좡예술특구로 이전 개관했다. 2022년 광주미디어아트플랫폼(GMAP)을 개관했고, 2023년 시립사진전시관을 폐관했다.

미술관은 시립미술관장을 필두로 산하에 운영지원과, 학예연구실, 교육창작지원과, 시설관리과, 하정웅미술관(분관)이 개설되어 있다.

본관은 광주광역시 북구 하서로 52에, 하정웅 미술관은 서구 상무대로 1165에 소재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미술관

미술관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광주시립미술관 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