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분류 | 절지동물 > 곤충강 > 파리목 > 광대파리과 |
---|---|
원산지 | 아시아 |
크기 | 약 0.3cm |
학명 | Spheniscomyia sexmaculatus |
요약 파리목 광대파리과 곤충들.
'fruit fly'라는 영어명은 초파리과(Drosophilidae) 초파리속 곤충에 대해서도 쓰이는데, 이것은 잘못된 것이다. 이 파리는 크기가 소형·중형 등이고 날개에는 갈색의 줄이나 무늬가 있으며, 대개 재배중인 과일을 침해하여 적지 않은 경제적 손실을 준다.
유럽셀러리파리 같은 종류는 잎을 파고들어가며 또 어떤 것은 식물 줄기에 구멍을 파기도 하고, 미역취의 줄기에 혹[蟲廮]을 만들어 해치는 종류도 있다.
지중해광대파리는 감귤류(레몬과 신 라임은 제외)에 알을 500개나 낳으며 유충은 과일 속에 굴을 뚫어 상품가치를 떨어뜨린다. 1929년 미국 플로리다에서 발견된 광대파리는 1930년까지 이미 미국에서는 절멸된 것으로 생각되었으나 1960년대 초반에 다시 나타났으며, 1981년에 캘리포니아에서도 발견되었다. 이 해충 때문에 전세계적인 검역법을 만들어 과일의 유입을 통제하고 있다. 1981년에 미국에서 이 해충이 크게 만연한 것 때문에 과일 재배자와 환경보호자 간에 커다란 논쟁이 벌어졌는데 결국 방제약을 공중에서 살포하는 것으로 결정이 났고, 이것은 손해를 많이 끼치는 해충의 구제에 대한 논쟁을 전세계로 파급시켰다.
어떤 광대파리종의 유충인 사과구더기는 사과에 구멍을 뚫어 사과가 푸석푸석하고 색깔도 변색되어 볼품없게 만든다. 이 종류 및 이와 아주 가까운 벗나무광대파리는 미국 북동부에서 막심한 손실을 주고 있다. 이 과에서 널리 퍼져 있는 또다른 해충으로 멕시코광대파리는 감귤류 식물에 피해를 주며 동양광대파리는 허다한 종류의 아열대 과일을 침해하고 올리브광대파리는 지중해 지방에서 올리브를 해치고 있다.
방제법도 종에 따라 다양해, 산란기에 과일에 살충제를 살포하기도 하고, 침해된 과일을 없애거나 기생충을 이용하기도 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