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통화관리자(정부·중앙은행)가 국내 통화공급량을 인위적으로 관리·조정하는 제도.
통제통화제도라고도 한다. 이 제도는 1923년 영국의 경제학자인 J.M. 케인스에 의해 주창되었으며, 통화공급량이 금 보유량의 증감에 연동되는 '금본위제도'와는 다르다. 왜냐하면 금본위제도는 화폐와 금의 상호전환방식을 통해 화폐단위가 일정량의 금과 결부되어 있기 때문이다. 관리통화제도의 목표는 합리적인 화폐공급을 통해 물가 및 외환시세의 안정과 고용증대를 꾀하는 데 있다. 통화량 조절수단으로는 지급준비율제도·금융정책·공개시장정책·발행고 조작 등이 이용되고 있으며, 1931년 영국의 금본위제도 붕괴 이후 세계 대다수의 국가에서 채택하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태그 더 보기
경제
경제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