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식물에서 양분이나 물을 운반하는 통도조직과 식물체를 지지(支持)하는 섬유들의 모임.
물관조직은 물과 물에 녹아 있는 양분들을 잎으로 운반하며, 체관조직은 잎에서 식물체의 다른 부위로 양분을 운반한다.
줄기에 있는 목질성 요소인 물관은 몇 가지의 배열형태를 갖고 있다. 원생중심주(原生中心柱)는 단단한 물관이 줄기의 중심부에 있는 형태이며, 관상중심주는 중심부가 비어 있거나, 수(髓)라고 하는 기본조직으로 되어 있는 형태이다.
벼과식물과 같은 외떡잎식물은 여러 개의 관다발이 떨어져서 흩어져 있는 부제중심주이지만, 장미와 같은 쌍떡잎식물은 관다발이 중앙부의 수를 둘러싸면서 서로 붙어있는 진정중심주(眞正中心柱)이다.
관다발은 줄기를 따라 길게 뻗어 있다. 관다발을 이루는 조직 중 방사조직은 줄기를 가로질러 바퀴살처럼 뻗쳐 나가는데, 관다발에서 줄기의 주변조직으로 물질을 운반한다. 관다발조직과 지지조직이 모여서 중심주(中心柱)를 이룬다.
관다발에는 몇 가지 형태가 있다.
병립(竝立)관다발은 체관이 물관의 한쪽에만 있는 것으로 보통 체관이 바깥쪽에 있다. 이 배열이 꽃피는 식물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쌍떡잎식물에서 가장 일반적인 것으로 장미·사과·참나무 등에서 볼 수 있다. 복병립(復竝立)관다발은 체관이 물관의 안과 밖, 양쪽에 배열해 있다. 포위관다발에는 체관이 물관을 완전히 둘러싼 경우(외체관포위관다발)와 물관이 체관을 완전히 둘러싼 경우(외물관포위관다발) 두 가지가 있다. 폐쇄관다발은 부름켜가 없어 2차생장을 하지 못하며 벼과식물과 백합 또는 야자나무와 같은 외떡잎식물에서 흔히 볼 수 있는데, 관다발이 줄기에 2개 또는 그 이상으로 된 고리 모양을 이루며 흩어져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식물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