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곽지리유적

다른 표기 언어 郭支里遺蹟

요약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곽지리에 있는 청동기시대에서 철기시대 사이의 조개더미 유적.

제주시에서 서쪽으로 20km쯤 떨어진 해안 일주 도로변 해발 30m의 완만한 비탈지대에 있다. 유적 가까이의 제주시 삼양동, 용담동, 오라동, 애월읍 광냉리, 귀일리 등에 고인돌이 있어 곽지리유적을 남긴 사람들과 긴밀한 관련이 있었음을 보여준다. 1973년에 처음 발견하여 1979년 12월과 1984년 8월 두 차례에 걸쳐 제주대학교 박물관에서 발굴했다. 상당히 넓은 범위에 걸쳐 있는 대규모 유적으로 드러났는데, 크게 3지구로 나뉜다.

유적의 층위는 단순한 편으로 거의 겉흙층(두께 20~30cm) 아래의 제2층(조가비와 검은 부식토층, 두께 60~80cm)에서 유물이 나왔다. 제3층(흑갈색 부식토층, 두께 30~60cm)과 제4층(황갈색 모래층, 두께 20~40cm)에서는 유물도 많지 않고 두 층 사이에는 시기도 뚜렷이 구분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출토유물을 보면 골아가리그릇·구멍무늬그릇·항아리·김해토기 등 질그릇과 그물추·가락바퀴 등 흙제품이 많고 도끼·공이·돌칼·끌·자귀·홈돌·갈돌·갈판·그물추·숫돌 등 석기, 칼자루·송곳·뿔연모 등 뼈뿔 제품과 손칼·끌 등 철제 연모, 그밖에 많은 짐승뼈와 조가비 등 자연유물들이 있어 당시의 풍부한 문화내용을 알려주고 있다.

질그릇은 대체로 두 시기로 나누어볼 수 있는데, 3층과 4층에서는 주로 골아가리그릇·구멍무늬그릇·덧띠질그릇·검은간그릇·갈색간그릇 등이 있어 청동기시대의 성격을 띤다. 2층에서는 입술이 밖으로 벌어진 항아리와 김해토기가 특징으로, 경상도지역의 철기시대 초기와 같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유적에서 출토된 뼈뿔연모에 대한 분석과 조가비, 짐승뼈 등 자연유물에 대한 분석이 진행되면 유적의 종합된 성격이 더욱 뚜렷이 드러나게 될 것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제주도

제주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멀티미디어 더보기 1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곽지리유적


[Daum백과] 곽지리유적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