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오염물질을 많이 배출해 환경을 파괴하는 산업부문을 통틀어 일컫는 말.
그 구성과 범위는 산업구조·생산규모·생산방식·지역배치·정치체제·환경의식 등 체제적 특성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공해산업은 각 산업의 생산공정에서 생기는 '산업공해'와 생산된 제품을 소비함으로써 생기는 '제품공해'로 구분할 수 있다.
전자의 대표적인 예가 제철·비철금속·화학·석유화학·제지·전력 산업 등이고 플라스틱·농약·살충제·합성세제·자동차 등은 후자의 예이다.
오염 대상에 따라 구분하면, 대기오염의 경우 열공급업과 시멘트, 건축용 점토제품, 전력, 비금속 산업 등이 주요오염원이며, 수질오염의 경우 축산·제지·화학·금속 관련산업 등이 주오염원이다. 산업폐기물의 경우 석유화학·비금속·합성고무 등이 많은 오염물질을 배출한다. 공해산업은 대부분 자원 및 에너지 낭비형이고 노동집약형이어서 선진공업국에서는 이미 사양산업이 되었다. 이것을 후진국이나 개발도상국으로 이전시키는 선진국의 공해산업수출은 주요한 남북문제 가운데 하나이다.
공해산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공해방지시설의 설치·가동을 의무화하고 엄격한 규제책을 마련하는 동시에 전체 산업구조에서 공해산업의 비중을 줄이며 비공해산업을 육성하는 정책과 자정능력을 갖춘 지역으로 공해산업을 분산·배치하는 정책 등이 마련되어야 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환경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