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공조

다른 표기 언어 工曹 동의어 수례, 修例

요약 1392년에 설치되어 산림과 소택, 공장 및 건축과 수리, 도야 등의 일을 관장했다. 1405년 관제개편 때 영조·공야·산택의 삼사가 소속 부서로 정비되었다. 영조사는 궁실·성지·공해·옥우·토목공사·피혁·모포 등의 일을 맡았고, 공야사는 여러 공장들의 제작품, 금·은·주옥과 구리·철의 제작, 도량형 등을 관리했으며, 산택사는 산림·소택·나루터·교량·궁궐의 정원·식목·탄·목재·석재·선박·차량·필묵·칠기 등의 일을 맡았다. 공조에 소속된 관청으로는 상의원, 선공감, 수성금화사, 전연사, 장원서, 조지서, 와서 등이 있었다. 이외에도 공조서·도양서·동서요 및 각 도 염전·둔전 등도 공조에 속해 있었으나 뒤에 모두 폐합되었다. 1894년 공무아문으로 바뀌었다가 이듬해에 농상아문과 합하여 농상공부로 개편되었다.

일명 동관(冬官)이라고도 한다. 1392년(태조 1)에 설치되어, 산림(山林)과 소택(沼澤), 공장 및 건축과 수리, 도야(陶冶) 등의 일을 관장했다. 1405년(태종 5) 관제개편 때 영조(營造)·공야(攻冶)·산택(山澤)의 삼사(三司)가 소속 부서로 정비되었다. 영조사(營造司)는 궁실·성지(城池)·공해·옥우(屋宇)·토목공사·피혁·모포 등의 일을 맡는 관사였고, 공야사(攻冶司)는 여러 공장들의 제작품, 금·은·주옥과 구리·철의 제작, 도량형 등을 관리하는 관사였으며, 산택사(山澤司)는 산림·소택·나루터·교량·궁궐의 정원·식목·탄·목재·석재·선박·차량·필묵·칠기 등의 일을 맡은 관사였다.

공조에 소속된 관청으로는 왕의 의대를 바치고 궁내의 재화 보물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상의원(尙衣院), 토목 영선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선공감(繕工監), 궁성·도성의 수축 및 궁궐·정부청사와 도성 내 각 민가의 소방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수성금화사(修城禁火司), 궁궐의 수선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전연사(典涓司), 정원·꽃·과수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장원서(掌苑署), 표전(表箋)·자문(咨文) 등 제반 용지를 제조하는 조지서(造紙署), 기와와 벽돌을 제조하는 와서(瓦署) 등이 있었다.

이외에도 공조서·도양서(都梁署)·동서요(東西窯) 및 각 도 염전·둔전 등도 공조에 속해 있었으나 뒤에 모두 폐합되었다. 관원으로는 판서(判書:정2품) 1명, 참판(參判:종2품) 1명, 참의(參義:정3품) 1명, 정랑(正郞:정5품) 3명, 좌랑(佐郞:정6품) 3명을 두었다. 1894년(고종 31)에 공무아문(工務衙門)으로 명칭이 바뀌었다가 이듬해에 농상아문(農商衙門)과 합하여 농상공부(農商工部)로 개편되었다.→ 공부, 6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조선

조선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공조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