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경제적 가치를 높이기 위한 생산 활동에 적합한 장소를 선택하는 이론.
입지 이론은 경제학과 지리학에서 경제활동의 지리적인 위치에 관련된 이론으로 공업 입지는 경제적 가치를 높이기 위한 생산 활동에 적합한 장소를 말한다. 베버는 입지 삼각형으로 공업 입지론을 설명했다. 시장과 2가지 원료의 원산지가 지리학적으로 삼각형을 형성하는데 원료와 생산품을 서로 운반하는 운송비가 최소로 드는 곳에 생산 입지가 결정된다는 것이다.
우선 수송비용이 최소가 되는 입지와 비교하여 수송비용의 변화를 그림으로 그린 다음, 삼각형 내에서 수송비용을 최소로 하는 입지보다 노동비용이 값싼 위치들을 찾아냈다. 만일 수송비용이 노동비용보다 낮다면 노동비용이 값싼 대안적인 입지가 결정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태그 더 보기
경제
경제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