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골상학

다른 표기 언어 phrenology , 骨相學 동의어 성상학, 性相學

요약 골상학 연구의 기본가설을 세운 인물은 갈과 19세기 슈푸르츠하임, 쿰으로 이 학문은 20세기까지도 널리 대중적 관심을 끌었지만 지금은 완전히 신빙성을 잃게 되었다. 골상학에서는 머리 표면만 관찰하고도 내부의 기관들의 크기를 감지할 수 있다고 생각했으며 뇌는 마음을 나타내는 기관이고 인간의 정신능력을 분석할 수 있는 선천적이고 독립적인 기능이 있다고 믿었다. 이들은 최초에는 '범죄소질'과 머리 부위의 특징과 연관지으려 시도하였으며 나중에는 사랑, 성욕, 집중, 호전성 자부심, 경계, 자비, 존경심, 양심, 의지, 기지, 모방성, 개성, 형태지각, 크기지각, 무게지각, 색채지각, 위치지각, 수리력, 추상성 등의 속성을 머리의 각 부분과 연결지으려 하였다.

골상학(phrenology)

ⓒ People's Cyclopedia of Universal Knowledge/wikipedia | Public Domain

골상학 연구의 기본가설을 세운 인물들은 다음의 세 사람이다.

먼저 빈 출신 의사 프란츠 요제프 (1758~1828)과 19세기 그의 신봉자였던 요한 카스파르 슈푸르츠하임(1776~1832), 그리고 조지 쿰(1788~1858)이다. 이 학문은 20세기까지도 널리 대중적 관심을 끌었다. 그러나 과학적 연구가 발달함에 따라 지금은 완전히 신빙성을 잃게 되었다.

골상학은 다음과 같은 5가지 원칙에 기초를 두고 있다. ① 뇌는 마음의 기관이다. ② 인간의 정신능력을 분석할 때는 일정 수의 독립적 기능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③ 이 기능들은 선천적이며 각각 뇌표면의 특정 부위에 자리잡고 있다. 각 기능이 자리잡고 있는 부위의 크기는 한 사람의 성격구성요소 가운데서 바로 그 부위의 기능이 어느 정도 비중을 차지하는지 나타내준다. ④ 두개골 표면과 그 밑에 있는 뇌부위의 윤곽은 거의 일치한다. 따라서 머리 표면만 관찰하고도 밑에 있는 여러 기관들의 상대적 크기를 감지할 수 있다.

의사였던 갈은 순수하게 경험적 방법으로 이론체계를 세웠으며 완전히 공간적 개념으로 '기관'(organs)이라는 범주를 정의했다. 그는 먼저 어떤 한 기능이 자리잡고 있는 부분을 임의로 선택했다. 그 다음 친구들을 비롯한 많은 사람들 가운데서 공통으로 특징을 지닌 사람들을 조사대상으로 설정하고 머리 모양을 관찰했다.

갈은 그들 가운데서 성격의 특징을 나타내는 독특한 형태를 찾아냈다. 그가 연구를 시작한 초기에는 감옥이나 정신병원 수감자를 대상으로 한 적도 있었다.

그가 찾고자 한 몇몇 특징들은 '범죄소질'이었다. 그는 각각의 특징에 따라 각 부위들을 살인기관·도둑기관 등 극단적인 표현으로 이름붙였다. 그러나 그 이름들은 나중에 슈푸르츠하임에 의해 새로 지어졌다.

슈푸르츠하임은 보다 도덕적이고 종교적인 입장으로 연구에 동참했다. 갈은 그가 만든 머리모형 그림에 26개 기관이 자리잡고 있는 부위를 표시해 넣었다. 각 부위는 빈틈을 사이에 두고 둥근 모양의 테두리로 둘러싸여 서로 독립적이었다.

슈푸르츠하임과 쿰은 두피 전체를 장방형이나 그에 인접한 작은 부분들로 구분하고 각각 이름을 붙였다. 그 이름들은 다음과 같다. 즉 성욕, 자식에 대한 사랑, 집중, 집착, 호전성, 파괴성, 비밀, 획득성, 건설성, 자존심, 자부심, 경계, 자비, 존경심, 양심, 의지, 희망, 놀라움, 이상, 기지, 모방성, 개성, 형태지각, 크기지각, 무게지각, 색채지각, 위치지각, 수리력, 순서지각, 기억력, 시간지각, 음감(音感), 언어지각, 비교, 추상성 등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심리

심리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골상학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