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문화재 지정 | 1970.07.22 |
---|---|
소재지 | 전라남도 곡성군 |
문화재 | 국가무형문화재 제32호 |
요약 전라남도 곡성군 일대에서 전승되어 온 삼베를 짜는 일 또는 그 기술을 보유한 사람. 국가무형문화재 제32호이다. 삼씨뿌리기, 삼베기, 삼굿, 껍질벗기기, 공뱅이, 삼삼기, 물레잣기, 삼실만들기, 삼베짜기 등의 공정 과정을 거쳐 만들어진다. 곡성의 삼베는 모시같이 곱기 때문에 상품으로 여겨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명맥만을 유지하고 있다.
전라남도 곡성군 석곡면 일대에서 삼베를 짜는 일 또는 그 기술을 보유한 사람. 언제부터 곡성에서 돌실나이가 시작되었는지 정확한 기록은 없으나 마을의 역사로 미루어 조선시대 이전에도 삼베짜기를 해온 것으로 파악된다.
물맑은 섬진강과 보성강이 휘도는 곡성은 예로부터 베의 명산지로 알려져왔으며,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옛 방식 그대로 전승되고 있다. 곡성의 삼베는 올이 가는 세포(細布)이며 모시같이 곱기 때문에 만드는 공이 많이 들어 상품으로 쳤다. 모시와 같이 가는 포를 돌실나이로 부르는 것은 이 마을의 기법이 워낙 유명했기 때문에 고유명사가 된 것이다.
제조방법은 삼씨뿌리기, 삼베기, 삼굿, 껍질벗기기, 1묶음씩 10묶음을 묶는 공뱅이, 삼삼기, 물레잣기, 삼실만들기, 삼베짜기 등으로 여타 지역의 공정과 비슷하다. 그러나 이 지역의 베는 옛날 그대로 35dm의 폭에 1,212cm 길이를 유지하고 가는 베를 여전히 중시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요즈음 옷감의 종류도 많고 수요도 격감되어 상장례용(喪葬禮用)으로나 쓰이므로 생산이 격감되어 수지타산이 잘 맞지 않지만 여전히 마을 단위에서 옛 방법을 고수하고 있다. 기·예능보유자로는 김점순(2008 해제)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중요무형문화재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