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고트프리트

다른 표기 언어 Gottfried von Strassburg
요약 테이블
출생 미상
사망 미상
국적 독일

요약 1210년경에 활동한 중세 독일의 위대한 시인.

그가 쓴 궁정 서사시 〈트리스탄과 이졸데 Tristan und Isolde〉는 연애담의 유명한 고전이 되었다.

생몰시기는 알려져 있지 않고, 그에 대한 정보는 다른 시인들의 작품에 언급된 부분과 그의 작품을 분석하여 얻어낸 것뿐이다. 〈트리스탄과 이졸데〉에 나타나는 폭넓은 학식으로 미루어볼 때, 중세의 성당과 수도원에서 충분한 교육을 받았음이 분명하다. 작품의 권위적인 어조와 배경으로 미루어보아 귀족출신은 아니었더라도 상류사회에서 생활했던 것 같다.

〈트리스탄과 이졸데〉는 1210년경에 씌어진 것으로 추정되며, 고트프리트는 하르트만 폰 아우에, 발터 폰 데어 포겔바이데, 볼프람 폰 에셴바흐 등과 같은 시대에 활동한 것으로 보인다. 〈트리스탄과 이졸데〉에 대한 켈트족의 전설은 프랑스를 거쳐 독일에 전해졌으며 이 전설의 최초 독일어본은 1170년경에 활동했던 아일하르트 폰 오베르크가 쓴 것이다. 고트프리트는, 아일하르트의 시를 알고 있었을지도 모르지만, 브르타뉴의 토마가 1160~70년에 쓴 앵글로노르만 어본을 토대로 하여 〈트리스탄과 이졸데〉를 썼다.

서두에서 밝히고 있듯이 그가 이 작품을 쓴 도덕적 목적은 연인들에게 이상적인 사랑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다. 그 이상의 핵심은 중세 기사도 시대의 낭만적 여성숭배에서 비롯된 것으로서, 사랑(minne)은 그것이 수반하게 마련인 고통을 통해 연인들을 고귀하게 승화시킨다는 것이다. 보통의 윤리규범 대신 기사도적 사랑의 관례에 따라 행동하는 주인공들의 이야기를 통해 그는 이러한 이상을 표현해냈다. 따라서 옛날부터 전해내려오는 트리스탄의 전설에서 사랑의 미약은 비극을 일으키는 직접적인 원인이 되지만, 〈트리스탄과 이졸데〉에서는 연인들의 정열의 본질을 나타내는 단순한 외부적 상징으로 처리되고 있다. 연인들의 정열은 사련이라는 점에서는 비극적이지만, 그 본질에 있어 자발적이고 유일하며 완전하기 때문에 '사랑의 법정'에서는 정당화된다.

고트프리트의 〈트리스탄과 이졸데〉는 미완성이지만 트리스탄 전설을 다룬 중세 문학작품 가운데 가장 뛰어날 뿐 아니라 중세의 기사도 정신에 입각한 가장 완벽한 창작물로서 고상한 어조와 세련미, 뛰어난 시적 기교가 돋보인다. 이 작품은 나중에 리하르트 바그너의 오페라 〈트리스탄과 이졸데〉(1859)에 직접적인 영감을 주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작가

작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고트프리트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