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고구려의 문화

다른 표기 언어

요약 안악3호분·덕흥리벽화고분·쌍영총·무용총·각저총·강서대묘에 그려진 청룡·백호·현무·주작의 사신도와 같은 고분벽화가 남아 있어 고구려 미술의 수준을 알 수 있다. 또한 '지서가', '지서무'와 같은 악곡을 통해 높은 수준으로 발전한 고구려의 음악은 일본에 큰 영향을 주어 '고려악'으로 전해졌다. 비문으로 지안의 광개토왕릉비와 중원의 고구려비가 전해지는데 특히 광개토왕릉비의 문장과 서체는 매우 뛰어나서 당시 고구려 한학의 수준을 엿보게 한다. 높은 수준으로 발전한 천문기상학의 결과물이 '천상열차분야지도'라는 별자리 그림이다. 성곽축조술은 조선시대까지 그대로 계승되어 한국식 성곽축조의 한 양식이 되었으며, 금속제련기술도 높은 수준에 올라, 고구려의 금과 은이 당시에 가장 우수했다는 기록을 볼 수 있다.

미술

고구려 미술의 대표적인 유산으로는 고분벽화를 들 수 있다.

이는 당대 동아시아의 문화유산 중 가장 뛰어난 것의 하나로 평가되고 있다. 지금까지 80여 기의 벽화고분이 발견되었는데, 대부분 수도였던 평양과 지안[輯安] 일대에 집중되어 있다. 고구려의 벽화는 처음에 중국의 영향을 받았으나 점차 독자적인 표현기법과 내용을 갖게 되었으며, 백제·신라·일본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 벽화의 내용이 초기에는 무덤 주인공의 초상과 생전의 생활상을 사실적으로 그린 풍속도가 주류였으나, 후기에는 무덤을 지키는 수호신의 일종인 청룡·백호·현무·주작의 사신도를 주로 그렸다.

그외 벽화에는 신선·비천·괴수·해·달·별자리·수목·건축물 등과 각종 문양이 화려하게 그려져 있다. 대표적인 벽화고분으로 안악3호분·덕흥리벽화고분·쌍영총·무용총·각저총·강서대묘 등이 있다.

문학·음악

고구려의 문학으로는 왕자 호동(好童)이나 온달(溫達) 등 역사적 인물을 다룬 설화문학을 꼽을 수 있으며, 시가문학으로서는 유리왕이 지었다는 〈황조가〉와 을지문덕이 수나라 장군 우중문에게 지어 보냈다는 오언시가 전해지고 있다.

한편 고구려의 악곡으로는 '지서가'(芝栖歌)와 '지서무'(芝栖舞)가 전해진다. 또 고구려에 일찍부터 중국이나 서역의 악기와 악곡이 전래되었던 것으로 보이는데, 왕산악(王山岳)은 중국의 칠현금을 개량하여 현학금(거문고)을 만들고, 100여 곡을 지었다고 전해진다.

이 현학금은 뒤에 신라에 전해졌다. 당시 고구려에서 쓰인 악기는 고분벽화에서 그 면모를 엿볼 수 있다. 높은 수준으로 발전한 고구려의 음악은 일본에도 큰 영향을 주어 '고려악'으로 전해졌다.

역사편찬·비문

한학의 보급과 발달에 따라 역사를 정리하는 작업이 진전되어 〈유기 留記〉 100권이 만들어지고, 영양왕 때에는 태학박사 이문진(李文眞)이 〈유기〉를 정리하여 〈신집 新集〉 5권을 편찬하였다고 한다.

고구려 때 만들어진 비문으로는 지안[輯安]의 광개토왕릉비와 중원의 고구려비가 현재 전해지고 있다. 특히 광개토왕릉비의 문장과 서체는 매우 뛰어나서 당시 고구려 한학의 수준을 엿보게 한다. 한편 한자의 음과 훈을 빌어 우리말을 기록하는 표기법이 사용되었는데, 이는 뒤에 신라에 전해져 이두로 발전하였다.

광개토왕릉비

ⓒ Straitgate/wikipedia | Public Domain

과학·기술

고구려의 과학·기술로는 천문기상학·금속제련술·건축술 등이 주목된다.

고구려는 농업사회였으므로 천문기상학이 높은 수준으로 발전하였다. 대표적인 유산으로는 1,464개의 별을 282개의 별자리로 표시한 '천상열차분야지도'(天象列次分野之圖)를 들 수 있으며, 그외 고분벽화에도 많은 별자리 그림이 남아 있다. 또 건축술도 발달하여 중국 척(尺)과는 다른 고구려 척이 사용되었고, 백제·신라·일본에까지 전해져 널리 쓰였다.

성곽축조술은 삼국은 물론 조선시대까지도 그대로 계승되어 한국식 성곽축조의 한 양식이 되었으며, 도성 건설에서도 평양성 유적을 보면 도시구획 등에서 매우 높은 수준을 갖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또 628년 당나라에 봉역도(封域圖)를 보냈다는 기록에서 고구려에서 지도제작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금속제련기술도 높은 수준에 올라, 고구려의 금과 은은 당시에 가장 우수하였다는 기록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철생산과 철제품의 제작은 무기·생산도구 등 국력의 바탕이 된다는 점에서 국가적으로 힘을 기울인 사업이었다.

또 고분벽화에는 지레의 원리를 이용한 용두레우물·디딜방아·수레 등의 그림이 보이고 있는데, 이를 통해 고구려의 생활과학의 일면을 엿볼 수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고구려

고구려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고구려의 문화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