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계본

다른 표기 언어 patimokkha , 戒本 , <산>prātimoksa 동의어 바라제목차, 波羅提木叉

요약 불교사원의 규범으로서 비구와 비구니의 일상생활을 규제하는 227개의 규율.
(팔). pātimokkha. (산). prātimoksa.

그러나 조항수는 남전과 북전이 서로 다르다. 팔리어 율장에는 계본의 금지조항을 범한 정도의 심각성에 따라 즉각 사원에서 영원히 추방하는 것, 일시적으로 승려 자격을 정지하는 처벌, 여러 가지 변상이나 참회를 요구하는 조항에서 단순한 구술 참회에 이르기까지 자세하게 나누어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여기에는 사원 내 분쟁을 화해시키기 위한 규칙도 망라되어 있다.

상좌부의 전통을 계승한 남방불교의 승려들은 보름마다 열리는 집회인 포살에서 계본 전체를 암송한다. 이에 상당하는 설일체유부의 산스크리트 율전에서는 250조항(비구니의 경우는 348조항)을 규정하는데, 이 전통이 북방불교권에서 통용되었다.

중국에서 번역된 〈사분율 四分律〉·〈오분율 五分律〉·〈십송률 十誦律〉 등은 이 전통을 따른 문헌이다. 대승불교의 전통을 따르는 중국·한국·일본 등에서는 지역적으로 적용할 수 없는 규율들은 과감하게 버렸다. 그리고 종파마다 다르고 경우에 따라서는 사원마다 다르기까지 한 수행규범들로 대체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계본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