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연화점이 높고 열팽창계수가 낮은 보통 유리보다 단단한 유리.
유리는 가열하면 팽창하고 냉각하면 수축한다. 유리는 내부와 표면의 냉각 속도가 달라 보통 유리의 경우 갑작스런 온도 변화를 겪으면 내부 변형이 일어나 깨지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유리가 깨지지 않게 하려면 풀림을 함으로서 온도 변화에 따른 영향을 덜 받게 하는 게 필요하다. 이런 작업을 통해 열팽창계수를 낮춰 잘 깨지지 않는 내열유리를 만든다.
내열유리의 일종인 경질유리는 연화점이 높고 열팽창이 작아서 온도의 급격한 변화에도 잘 깨지지 않는다. 종류로는 붕규산 유리, 칼륨 유리, 알루미노규산염 유리 등이 있다. 경질유리는 가공하기 어려운 편이나 열과 화학약품에 잘 견디므로 시험관·비커 등의 화학 실험기구와 조리용 그릇 등의 재료로 많이 쓰인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