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생산·분배·소비의 과정과 그에 따른 재화 및 화폐의 흐름을 포함하는 경제활동 전반의 순환운동.
인간은 인적·물적 생산요소를 활용해 재화와 용역을 생산하며, 그 생산물들을 교환·소비해 만족을 얻고, 새로 재생산된 노동력과 다른 생산요소들을 결합해 다시 생산활동을 계속한다. 이와 같은 경제생활의 순환적 측면을 이해하는 것은 국민경제 전체를 총체적으로 분석하는 거시경제이론의 기본적 토대가 된다.
생산과 소비·투자의 순환
경제순환은 먼저 생산과정과 생산물 처분과정의 연속적인 흐름으로 파악할 수 있다. 생산과정은 곧 토지·노동·자본 등의 생산요소들을 결합하는 과정이다. 생산요소의 결합은 다시 기술적·공학적 측면의 실물적 결합과 생산관계와 관련된 사회적 결합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특히, 생산수단이 사적으로 소유되는 자본주의 경제하에서는 여러 가지 생산물은 물론, 노동력을 포함한 모든 생산요소까지도 시장에서 가격기구의 작용에 의해 교환된다. 따라서, 생산은 시장을 통한 생산요소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모든 생산과정을 거쳐 나온 생산물은 소비재와 자본재의 2가지 형태로 처분된다. 소비재는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며, 또한 다음 생산과정에 투입할 새로운 노동력을 재생산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자본재는 소비재 및 다른 자본재를 생산하는 데 사용되는 생산물을 말하는데, 이러한 자본재를 마련하는 행위를 총투자(gross investment)라 한다.
총투자는 다시 그 형태에 따라 대체투자(replacement investment)와 순투자(net investment)의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대체투자란 생산과정에서 소모된 기존 생산시설을 보수·대체하는 것을 말하며, 순투자는 대체투자를 통해 생산능력을 재생산하고 남는 투자액을 말한다.
이처럼 인간의 경제생활에서는 생산요소를 결합하는 생산과정과, 여기서 나온 생산물을 소비·투자해서 노동력과 자본을 유지하고 또 증가시켜 새롭게 생산요소를 재생산하는 과정이 순환적으로 이어진다.
국민소득의 순환
경제의 순환적 성격은 화폐소득과 지출의 측면을 보여주는 국민소득의 순환을 통해서도 파악할 수 있다. 이해를 돕기 위해 가계와 기업만이 존재하는 2부문 경제를 상정하고 가계는 소득을 모두 지출하며 기업은 모든 수입을 가계의 생산요소 구입에 사용한다고 가정하면 자본량은 늘 일정하며 감가상각도 투자도 행해지지 않을 것이다.
그럴 경우, 기업의 생산활동과 가계의 소비활동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생산요소나 생산물 등의 실물부분은 '가계→요소시장→기업→생산물시장→가계'의 방향으로 이전되고, 동시에 그 과정에서 지출되는 화폐는 '가계→생산물시장→기업→요소시장→가계'의 순으로 옮겨가는 흐름을 나타낼 것이다.
그러나 실제 국민경제에는 가계와 기업 이외에 정부와 해외의 2가지 부문도 있기 때문에 그와 같은 단순모형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다. 따라서 저축과 투자, 조세와 정부지출, 수입과 수출 등의 요인들을 고려해야 수입과 지출의 흐름에 대한 분석이 완전해진다. 결론적으로, 누출요인에 해당되는 저축·조세·수입의 합계와 주입요인으로 구분되는 투자·정부지출·수출의 합계가 동일한 수준일 때 소득순환은 증가나 감소 없이 그대로 유지되며, 이러한 상태를 국민소득의 균형상태라고 한다.
경제의 순환적 측면에 대한 연구는 프랑스의 중상주의학자 F. 케네가 경제순환의 질서를 모형화한 '경제표'를 제시한 이후, 많은 학자들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전개되었다(→ 케네). 하예크는 생산과정을 여러 단계로 구분한 '생산단계의 도식'을 통해, 경제순환을 각 생산단계의 동시진행적 생산관계로 설명했다(→ 하예크).
이 도식은 단선진행적 생산구조를 전제로 하고 있었으나, 선행단계의 생산물을 중간생산물로 설정해 우회생산 구조를 명백하게 보여줌으로써 경제순환의 이해를 돕는 데 크게 기여했다.
또한 K. 마르크스의 '재생산표식'은 경제순환을 사회적 총자본의 재생산 행정(行程)으로 포착하고, 특히 단순재생산과 확대재생산의 구조를 체계적으로 비교·분석했다(→ 마르크스).
한편 케인스의 거시적 분석방법을 통계자료와 연결시킨 '사회회계표'는 현실의 구체적 순환구조를 보임으로써 실제로 정책 지표를 구하는 과정에 활용되기도 했다. 최근에는 국민경제의 구조 및 동향을 현실의 계수관계로 분석하는 '산업연관표'와 '국민경제계산표' 등이 작성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경제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