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경원선

다른 표기 언어 Gyeong-won Line , 京元線
요약 테이블
설립 1914년 개통
유형 철도
지역 서울특별시, 경기도 의정부시·양주시·동두천시·연천군, 강원도 철원군
길이 94.4㎞

요약 서울과 강원특별자치도를 잇는 한국의 철도 노선. 본래 원산까지 연결되었으나 지금은 남북 분단으로 인해 단절되어 있다. 운행 길이는 94.4㎞이며, 서울시 용산구에서 시작되어 경기 북부 지역을 경유하여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과 이어진다. 수도권 전철과 의정부 경전철, 경부선·중앙선·용산선과도 연결된다.

개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에서 출발하여 경기도 북부 지역과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을 잇는 철도 노선. 과거 개통 당시에는 원산까지 연결되었으나, 남북 분단으로 인해 지금은 단절되어 있다. 서울특별시 용산구·성동구·동대문구·노원구·도봉구, 경기도 의정부시·양주시·동두천시·연천군,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등 서울에서 시작되어 경기 북부를 지나 강원특별자치도와 연결된다. 수도권 전철 및 서울 지하철 1~7호선, 의정부 경전철 등과도 연계된다.

철도

한국의 철도

ⓒ 2015, All Rights Reserved.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변천

경원선은 본래 서울을 기점으로 철원, 안변을 거쳐 원산에 이르는 총 연장 223.7㎞에 달하는 노선이었다. 수도 서울과 동해·서해를 잇는 산업상·군사상 매우 중요한 간선철도이며, 노선의 완공으로 한반도의 간선철도가 X자 모양을 이루게 되었다. 계획 초기에 경원철도의 부설권을 놓고 1896년부터 프랑스·독일·일본 등 여러 나라가 각축전을 벌였으나, '철도와 광산 경영은 일체 외국인에게 불허한다'는 원칙하에 1899년 국내 철도용달회사에 맡겨졌다.

당시의 노선은 서울을 기점으로 의정부를 거쳐 양주군 비우점까지 약 40㎞ 구간이었다. 그러나 국내 회사의 자금사정의 악화로 중단되자, 일본은 경의철도자금대부약관에 포함되어 있던 '경원철도 부설을 위해 기채할 경우 일본과 먼저 협의한다'는 조항을 이용하여 부설권을 인수받았다. 1904년 6월, 일본은 서울-원산 간 철도부설 노선답사를 실시한 뒤, 그해 8월에 경원선을 군용철도로 부설하기로 결정했다. 1910년과 1911년에 용산과 원산에서 각각 기공식을 가졌으며, 1911년 용산~의정부(31.2㎞) 구간의 개통을 시작으로 1914년 세포~고산(26.1㎞) 구간이 각각 개통되어 전노선이 완공되었다.

그 뒤 1928년 함경선(원산~상삼봉)이 연결되면서 3~7일 걸리던 서울~회령 간이 약 26시간으로, 서울~청진 간은 약 22시간으로 단축되었다. 운행 초기에는 여객이 적었으나, 주변에 금강산을 비롯한 석왕사·원산해수욕장 등의 관광명소가 많아 철따라 객차를 늘리기도 했다. 또한 1931년에는 금강선(철원~내금강) 개통으로 경원선의 승객수가 늘어나기도 했다. 고산협곡의 험준한 산악지대를 통과해야 하기 때문에, 공정 전반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건설 당시는 한일합병 전후여서 민간인과 의병들의 활동이 활발했기 때문에 일본인들이 한복차림으로 측량했다고 전해진다.

해방 이후 강원특별자치도 북부 지방의 개발로 운행이 잠시 활발했으나, 6·25전쟁 이후부터 지금까지 원산까지의 운행은 중단되고 말았다. 1982년부터 경원선 복선전철사업이 시작되어 1986년 성북~의정부 간 13.1㎞가 복선전철화되었으며, 2006년에는 의정부~동두천 간이 복선전철화 되었다. 2014년에는 동두천~연천 간 복선전철이 착공되어, 2019년 개통되었다.

현황

총 길이는 94.4㎞이다. 수도권 전철 중앙선(용산~청량리)과 1호선(청량리~소요산), ITX-청춘, 통근열차(동두천~백마고지)가 경원선 노선에서 운행되고 있다. 2015년 기준 여객수송실적은 245만 8,307명이다. 이 중 새마을호를 이용한 승객은 20만 8,948명, 무궁화호는 172만 9,358명, 52만명은 통근열차를 이용했다. 서울시 구간에서는 수도권 전철 1~7호선, 경춘선, 경의·중앙선, 분당선과 연결되며, 용산역에서는 경부선과 연결된다. 의정부시 구간에서는 희룡역에서 의정부 경전철과 연결된다. → 철도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경원선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