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경북대학교병원

다른 표기 언어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慶北大學校病院
요약 테이블
설립 1907년 2월 10일
소재지 대구광역시 중구 동덕로 130
사이트 http://knuh.kr/

요약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종합병원.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종합병원. 1907년 설립된 대구 동인의원으로 개원하여, 변천 과정을 거쳐 1988년 3월 1일 지금의 이름인 경북대학교병원으로서 개칭되었다. 일찍이 영남지역의 중심 병원으로 자리잡았으며, 2000년대 이후로는 타 기관과 협력을 체결하여 지역 내 의료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경북대학교 병원

역사

경북대학교병원은 1907년 2월 10일 개원한 대구 동인의원에서 시작되었다. 1912년 5월 조선총독부 지방제 발표로 도(道)에 부속되어 경상북도립 대구의원으로 이름이 바뀌었으며, 1928년 대구시 삼덕동에 본관을 건축하고 자리를 잡게 되었다. 8·15해방과 함께 대구의학전문학교를 대구의과대학으로 개편하고, 경상북도립 대구의원을 대구의과대학 부속병원으로 이관했다가, 1952년 4월 1일 경북대학교 개교에 따라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으로 편입되었다.

1953년 국제연합재건위원단(UNKRA)과 한국의 보건부 간에 의과대학 및 부속병원 재건사업계획을 체결하여 병동의 증축 및 시설, 장비의 도입을 추진한 결과로 1954년 스위스 의료단으로부터 지원을 받았다. 1962년 영국 나병치료선교회의 지원으로 진료소를 설치하여, 영남지역의 나병 치료를 선도했다. 이후 1965년 외래진료소를 완공하고, 1974년 3병동을 완공했으며, 1985년에는 치료방사선과 암치료실을 개원하는 등 발전을 거듭하여 1988년 3월 1일 경북대학교병원으로 개칭했다.

1990년대에는 병원의 규모가 확장되어 1990년 외래진료동 개관을 시작으로, 외래접수동·의학연구소·모발이식센터·건강증진센터·일일수술실·두개악안면센타·무균병동 등이 차례로 개소·개관되었다. 1999년에는 대구·경북권역응급의료센터를 개원하면서 경북지역 의료체계의 중심 병원이 되었으며, 같은 해에 방사성동위원소 치료센터를 개소하면서 본격적인 암치료 의료시설을 구축하기 시작했다.

이어 2005년에는 과학기술부 지정 대구·경북 싸이클로트론 연구소 및 PET센터를 개소했으며, 같은 시기에 대구·경북지역 암센터 사업자, 대구·경북 노인보건의료센터 사업자로 선정되었다. 이밖에 타 기관들과의 협약도 활발히 전개하여 대구중구정신보건센터·대구대학교·국제재생의학연구소·나카무라기념병원 등과 협약을 체결하여 의료분야 학술 및 기술교류와 인재양성에도 주력했다. 2012년에는 지역응급의료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협약식과 심포지엄을 개최하였으며, 이듬해에는 고속도로 교통사고 외상환자 이송 진료를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하여 지역 내 응급의료 네트워크 구축에 주력했다.

2013년 영남권 유일 급성심근경색 4년 연속 우수기관으로 선정된 바 있으며, 2015년에는 국립대병원 공공보건의료 종합평가에서 최고 등급을 받았다. 2015년에는 2012년 농촌사랑 의료지원 업무협력 협약을 체결한 데 이어 제3회 농촌사회 공헌인증서를 획득했다. 이는 경북대학교병원이 소외된 농촌 지역의 부족한 의료시스템 구축에 기여한 바가 큼을 의미한다. 한편, 2011년에는 칠곡경북대학교병원을 개원했다.

진료과

2018년 기준 34개 진료과를 갖추고 있으며, 이밖에 PET-CT센터, 감마나이프센터, 두개악안면센터, 모발센터 등의 전문 센터와 골·연부 종양 클리닉, 내시경수술 클리닉, 여행의학 클리닉, 중재적 방사선시술 클리닉, 혈관외과 클리닉 등 다양한 특수 클리닉을 개설해 연구와 치료를 병행하고 있다. 대구경북지역 권역암센터·건강증진센터·응급의료센터를 비롯하여 진료의뢰·회송 센터 등을 운영하고 있으며, 수련교육병원의 역할과 대구지역 응급의료센터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현황

2019년 기준 허가병상 수는 본원 780개, 칠곡경북대학교병원 573개가 있으며, 의사는 본원 512명, 칠곡경북대학교병원 168명이 종사하고 있다. 2017년 기준연간 외래 환자 73만 3천 여 명과, 입원 환자 26만 3천 여 명이 본원에서 진료받았다. 진료권이 넓어 대구광역시를 비롯하여 경상남·북도 전체는 물론, 거의 전국을 망라하고 있으며, 울산동강병원·대구적십자병원·대구곽병원·포항의료원·안동의료원 등을 비롯한 전국 220개 병원과 협력관계를 맺어 진료 및 교육 등 인적·물적 지원을 통해 지역 의료발전에 이바지하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멀티미디어 더보기 3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경북대학교 병원 전경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경북대학교병원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