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경모궁제례악

다른 표기 언어 景慕宮祭禮樂

요약 정조가 아버지 사도세자를 위해 만든 제례악.

유래

1783년(정조 7)에 이휘지(李徽之)가 악장을 지었고, 그뒤 남공철(南公轍)이 개작했다. 음악은 종묘제례악인 보태평·정대업의 일부를 사용했다. 1899년 고종에 의해 신위가 종묘로 옮겨진 뒤 제향은 사라지고 음악만 전하고 있다.

음악

정조 원년 경모궁악기조성청을 임시로 설치하여 경모궁에 사용할 악기를 만들었는데 그 악기는 다음과 같다.

편종 2틀, 편경 2틀, 방향 2틀, 진고 1부, 절고 1부, 장고 2부, 어 2부, 당비파 1부, 향비파 1부, 현금 1부, 가야금 1부, 아쟁 1부, 생(笙) 2부, 훈(壎) 2부, 태평소 1부, 해금 1부, 피리 2개, 대금 2좌, 당적 2개, 퉁소 1개, 지 1개, 독(纛) 2부, 노도 1부, 휘 1부, 조촉 1부, 대금 1좌, 박(拍) 2부 등 모두 27종이다.

경모궁제향에는 6명 일무로 문무와 무무를 추었으나 지금은 추지 않는다.

의식절차악곡명비고
영신(迎神)오휴곡(於休曲)보태평 중 희문(熙文)을 줄인 곡
전폐(奠幣)제명곡(薺明曲)보태평 중 희문을 줄인 곡
진찬(進饌)혁우곡(赫右曲)종묘제례악 중 진찬을 줄인 곡
초헌(初獻)제권곡(帝眷曲)보태평 중 희문(熙文)을 줄인 곡
진색곡(震索曲)보태평 중 기명(基命)을 줄인 곡
유길곡(維吉曲)보태평 중 역성(繹成)를 줄인 곡
아헌(亞獻)독경곡(篤慶曲)정대업 중 소무(昭武)를 줄인 곡
휴운곡(休運曲)정대업 중 독경(篤慶)을 줄인 곡
휘유곡(徽柔曲)정대업 중 영관(永觀)을 줄인 곡
종헌(終獻) 아헌과 같음
철변두(徹邊豆)유분곡(有芬曲)종묘제례악 중 진찬을 줄인 곡
송신(送神)아례곡(我禮曲)종묘제례악 중 진찬을 줄인 곡
경모궁제례악의 연주절차와 악곡 일람표
종묘제례악

종묘제례악의 악기 연주

ⓒ Caspian blue/위키피디아 | CC BY 2.0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한국음악

한국음악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경모궁제례악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