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구부러진 등압선(等壓線)을 따라 부는 가상적(假想的)인 바람.
이 바람은 평행한 직선상의 등압선을 따라 움직이는 것으로 간주되는 바람, 즉 지균풍(地均風)의 개념을 확대한 것이다.
경도풍은 지균풍보다 실제의 바람을 더 잘 표현하는데, 특히 태풍이나 제트류처럼 속도가 빠르고 궤도의 곡률(曲率)이 큰 바람을 잘 설명해준다.
지균풍은 일정한 높이의 수평면을 따라 나타나는 압력분포나 일정한 압력을 갖는 수평면의 경사도 분포를 측정하여 계산할 수 있지만, 경도풍을 계산하려면 곡률(바람 방향의 변화)도 알아야 한다.
이 곡률은 등압선의 곡률에서 얻어낼 수 있다. 저기압 중심 주위에서는 안쪽으로 향하는 기압경도력(氣壓傾度力)이 바깥쪽으로 향하는 코리올리 힘 및 원심력과 균형을 이룬다.
코리올리 힘은 북반구에서는 바람의 오른쪽으로 작용하고 남반구에서는 바람의 왼쪽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북반구에서는 바람이 구부러진 등압선을 따라 시계 반대 방향으로 불고 남반구에서는 시계 방향으로 분다. 반대로 고기압의 중심 주위에서는 안쪽으로 향하는 코리올리 힘이 바깥쪽으로 향하는 원심력 및 기압경도력과 균형을 이룬다. 이 경우 바람은 북반구에서는 시계 방향으로, 남반구에서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분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