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경기동향지수

다른 표기 언어 diffusion index , 景氣動向指數 동의어 경기변동지수, 경기확산지수, 景氣擴散指數, DI

요약 각종 경제통계지표의 변동을 나타내는 지수.

경기변동지수, 확산지수라고도 한다. 이것의 목적은 반복성·파급성·누적성 등의 특성을 갖는 경기동향이 경제의 특정 부문에서 경제 전체에 파급되는 과정에 대한 파악이다. 즉, 경기변동에 대응해서 움직이는 각종 경제지표를 모아 그 지표군 중에서 상승경향을 나타내는 지표의 비율을 표시한다.

이것을 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DI=증가의 방향으로 변동한 지표의 수/선정된 지표의 총수 ×100

위의 정식에서 볼 수 있듯이 DI는 대상으로 선정된 지표군에서 확대경향을 갖는 지표의 백분율로 표시하므로 DI의 값은 0과 100 사이에서 변동하게 된다. 그러므로 DI가 50을 웃돌 때에는 확대경향을 갖는 지표의 수가 수축경향을 갖는 지표의 수보다 많음을 의미한다. 반대로 DI가 50보다 밑돌 때에는 수축현상을 갖는 지표의 수가 확대경향을 갖는 지표의 수보다 많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정의되는 DI는 전체 경제의 경기동향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 주요통계를 선정하고, 그 움직임을 지수화하여 경기를 측정·예측하는 수단으로 이용된다.

각 종류 지표군은 과거의 경기동향과 대비해서 선행적으로 움직이는 것(선행지수), 일치해서 움직이는 것(일치지수), 뒤져서 움직이는 것(후행지수)의 3집단으로 분류하여 DI를 작성하는 경우가 많다. 이때 선행지수로 경제를 예측하고 일치 및 후행지수로 이를 확인한다. 따라서 DI는 경제가 순환적으로 변동할 때 그 척도로서의 의미를 가지며 또한 측정단위가 상이한 다수의 지표를 하나의 지표로 집약화할 수 있는 방법이라는 의미도 갖는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경제

경제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경기동향지수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