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게자리

다른 표기 언어 Cancer
요약 테이블
위치 북반구
관측시기 연중 가능

요약 남쪽 하늘에서 희미하게 보이는 별자리. 황도 12궁에 속하며 고대 그리스 신화의 헤라클레스 신화에서 유래한다. 그리스의 천문학자 프톨레마이오스가 정리한 48개 별자리에 포함되며 1928년 국제천문연맹이 정한 현행 88개 별자리 가운데 하나이다.

프레세페 성단

ⓒ The Messier Catalog/wikipedia | Public Domain

개요

한국에서는 남쪽 하늘에서 관측되는 별자리. 북반구에 속하는 별자리로 황도 12궁에 속하며, 사자자리와 쌍둥이자리 사이에 있다. 고대 그리스의 프톨레마이오스가 정리했다. 살쾡이자리·작은개자리·바다뱀자리·작은사자자리에 이웃한다. 라틴어 'Cancer'로 표기하며, 약어는 'Cnc'이다. 북위 90˚ ∼ 남위 60˚ 지역에서 관측이 가능하다.

벌자리란?

초기 별자리는 별 사이에 선을 그어 연상되는 사물의 이름을 붙인 것에서 기원했지만, 현행 별자리는 1928년에 국제천문연맹(IAU,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에서 정한 88개를 말하며, 지구에서 관측되는 하늘에 별자리 이름을 붙여 경계를 나눈 공간을 의미한다. 별자리는 하늘에서 태양이 이동하는 경로인 황도 위에 12개(황도 12궁), 북반구 하늘에 28개, 남반구 하늘에 48개가 있다. 별자리를 구성하는 별들은 지구에서 볼 때 같은 공간에 있으나 지구에서의 거리는 서로 매우 다르다.

천문 정보

작은곰자리의 넓이는 506평방도(deg2)인데, 평방도는 3차원 공간을 2차원의 각도로 나타내는 단위이다. 적경은 8h 30m, 적위는 23°34′, 가장 밝은 별은 게자리β(β Cnc/3.5), 육안으로 도시에서 관측이 가능한 겉보기 등급 3.0 이상의 밝은 별은 없다. 자오선통과(남중)는 3월 15일이다. 잘 알려진 프레세페 또는 벌집이라는 성단이 여기에 있다.

유래와 역사

게자리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인물인 헤라클레스에서 유래한다. 헤라클레스는 제우스와 페르세우스의 손녀딸 알크메네의 아들로, 제우스는 페르세우스 집안에서 다음에 태어날 아이로 그리스의 통치자를 삼겠다고 맹세했지만, 제우스의 질투심 많은 아내 헤라의 계략으로 병약한 또다른 아이 에우리스테오스가 먼저 태어나 왕이 되었다. 성장한 헤라클레스는 에우리스테오스를 섬겨야 했고, 복수심이 강한 헤라의 박해에 시달려야 했다. 헤라클레스에게 강요된 12가지 노역들을 겪게 한 것도 헤라의 사주를 받은 에우리스테오스였다.

12가지 노역 가운데 두번째가 9개의 머리가 달린 레르나의 괴물 히드라를 퇴치하는 것이었는데, 헤라클레스가 히드라의 머리 8개를 없애자 헤라가 게를 보내서 헤라클레스의 발가락을 물게 했다. 헤라클레스는 게를 밟아 죽였고, 헤라는 게의 죽음을 보상하기 위해 하늘로 올려 별자리를 만들었다. 게자리는 고대 그리스의 천문학자 프톨레마이오스(Claudius Ptolemaeos)가 정리한 48개 별자리에 포함되었으며, 1928년 국제천문연맹에서 제정한 현대 별자리 88개에도 포함되었다. 점성학에서 게자리는 황도 12궁의 제4표지로서, 6월 22일경부터 7월 22일경까지의 기간을 관장한다.

관측

지구에서는 북위 90˚ ∼ 남위 60˚ 사이에 이르는 지역에서 관측이 가능하다. 한국에서는 연중 관찰할 수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우주

우주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게자리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