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개량서당

다른 표기 언어 改良書堂

요약 갑오개혁 후 신교육제 실시에 따라 재래의 서당을 초등교육의 보조기관으로 개조한 것.

갑오개혁을 기점으로 신교육제를 실시하여 교육의 대중화가 이루어지면서 전통적 교육기관은 쇠퇴했으나, 민간교육을 시킬 만한 시설이 없기 때문에 사설교육기관인 서당을 계속 유지시켜 일반대중의 초등교육을 담당케 했다. 재래서당을 개량서당으로 전환한 것이 일제의 강점을 계기로 본격화되었기 때문에 그 출발부터 일제통치수단으로서 기능하게 되었다.

1908년 일제 통감부는 서당시설 개량, 교수방법·교육내용의 개선 등을 담은 서당관리에 관한 규정을 반포했다. 그러나 이것은 민족교육을 위한 개선이 아니라, 기본적으로 일제의 조선지배를 위한 일본어 보급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부족한 초등교육기관을 메우기 위한 방편에 불과했다. 이는 일제가 계몽운동에 적극적이었던 민족사학(民族私學)을 심하게 탄압했던 점에서도 잘 드러난다.

한편 조선인 사이에서도 재래의 서당을 개량하여 근대적 초등교육기관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논의가 1910년대를 전후하여 제기되었는데, 1920년대에 들어와 민족주의 계열이 농촌계몽운동·문맹퇴치운동 등을 전개하면서 교육열이 높아짐에 따라 활발해졌다. 이러한 개량서당론은, 당시 초등교육기관의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서당을 정규 초등교육기관에 준할 수 있도록 성격·교육내용·운영방법 등을 개선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이에 신구학문에 두루 능통한 교사와, 한문과 유학 외에도 국어·산술·지리·일본어·역사 등 새로운 과목을 가르칠 수 있는 개량서당이 증가하게 되었다. 여기에는 민족교육의 온상이었던 사립학교 등에 대한 탄압이 가중되어 비정규 교육기관인 서당·야학·강습회 등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던 당시의 사정도 작용했다.

이에 일제는 1918년에 서당규칙을 제정하여 서당에 대한 지금까지의 방침을 바꾸어 개량서당에 대한 통제를 가하기 시작했다. 이어 1928년에는 서당규칙을 개정, 서당설립을 도지사 인가제로 바꾸어 서당설립을 더욱 어렵게 만드는 한편 기존 서당을 폐쇄하는 등 탄압을 더욱 강화했다. 따라서 1930년대 이후 서당 수는 급격히 감소했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서당도 식민지 노예교육을 주입시키기 위한 간이학교로 대부분 개편·흡수되었다.→ 서당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조선

조선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개량서당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