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강복중

다른 표기 언어 姜復中 동의어 재기, 載起, 청계망사, 淸溪妄士
요약 테이블
출생 1563(명종 18)
사망 1639(인조 16)
국적 조선, 한국

요약 조선 중기의 선비. 일생을 시골에 묻혀 지냈으면서도 나라의 움직임에 대한 관심을 시조에 직접적으로 나타냈다.

자는 재기, 호는 청계. 벼슬은 참봉에 그쳤다. 61세 때 인조반정이 일어나자 〈계해반정가 癸亥反正歌〉 6수를 지어 거사를 찬양했다. 일생 동안 선산의 산변으로 송사에 시달렸는데, 72세 때 이안눌(李安訥)의 도움으로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가사 〈선산회복가 先山恢復歌〉에 이때의 감격이 잘 나타나 있다. 병자호란 때에는 가사 〈위군위친통곡가 爲君爲親痛哭歌〉를 지어 직접 싸우지 못하는 원통한 마음을 표현했다. 노년에는 전원에 은거하는 흥취를 자랑하는 〈수월정청흥가 水月亭淸興歌〉 21수를 지었다. 〈청계공가사 淸溪公歌詞〉와 〈수월정청흥가첩〉이 전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강복중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