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소설가 강경애의 문학 작품과 경향.
시 〈책 한 권〉(금성, 1924. 5)·〈가을〉(조선문단, 1925. 11) 등을 발표한 뒤, 소설 〈파금 破琴〉(조선일보, 1931. 1. 27~2. 3)·〈어머니와 딸〉(혜성, 1931. 5~1932. 4)을 발표하여 문단에 나왔다. 당시 간도의 사정을 잘 그린 수필 〈간도를 등지면서〉(동광, 1932. 8)·〈간도야 잘 있거라〉(동광, 1932. 10) 등과, 사상적 스승이자 동지인 남편과의 관계를 그린 수필 〈원고 첫 낭독〉(신가정, 1933. 6)·〈표모(漂母)의 마음〉(신가정, 1934. 6) 등을 발표했다.
남편 장하일은 사상범으로 체포된 경험이 있고, 만주에서도 계속 활동한 민족운동가였다. 그녀가 조선 프롤레타리아 예술가동맹(KAPF)과 직접 관계하지 않았음에도 사회과학적 현실인식이 뚜렷한 작가의식을 바탕으로 진보적 사실주의 작품을 쓸 수 있었던 것은 남편의 도움으로 가능했다.
고향에서 쓴 〈어머니와 딸〉에서는 봉건 윤리의 억눌림 속에서 가난한 모녀가 겪는 수난을 나타냈고, 간도로 건너간 이후 계급투쟁을 내용으로 한 단편 〈그 여자〉(삼천리, 1932. 9)와 콩트 〈월사금〉(신동아, 1933. 2)을 발표했고, 아버지와 아들이 도둑질과 살인을 저지를 수밖에 없는 절박함을 그린 〈부자 父子〉(제일선, 1932. 3)와 수입이 줄어든다고 일꾼을 몰래 죽이려는 지주의 횡포를 그린 〈채전 菜田〉(신가정, 1933. 9) 등에서 일제강점기에 하층민이 겪었던 수탈을 생생하게 그렸다.
만주를 배경으로 한 대표작 〈소금〉(신가정, 1934. 5~10)은 중국인 지주에게 버림받은 봉염 어머니를 통해 간도에서 조선인들이 이중으로 수탈당하는 현실에서 공산주의자들은 인간과 사회해방을 위해 무엇을 했는가를 묻는 문제작이다.
비슷한 시기에 발표한 장편 〈인간문제〉(동아일보, 1934. 8. 1~12. 22)는 근대소설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작품으로, 인간으로서 기본생존권조차 얻을 수 없었던 노동자의 참담한 현실을 예리하게 파헤쳤다.
이어 딸을 강제로 팔아야 하는 어머니의 아픔을 그린 〈동정〉(청년조선, 1934. 10), 만주사변 직후 안일한 소시민으로 전락해가는 세태를 그린 〈모자 母子〉(개벽, 1935. 1), 작가 자신의 체험을 바탕으로 한 〈원고료 이백원〉(신가정, 1935. 2), 지주에게 이용만 당하고 해고된 소작인을 그린 〈해고〉(신동아, 1935. 3), 농촌의 궁핍함을 자세히 그린 〈지하촌〉(조선일보, 1936. 3. 12~4. 3) 등을 발표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