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감저종식법

다른 표기 언어 甘藷種植法

요약 고구마의 이용·재배·저장법을 기술한 책.

1책. 필사본. 서문과 발문이 없기 때문에 저자와 편찬연대는 분명하게 알 수 없으나, 전후 사정으로 보아 〈강씨감저보 姜氏甘藷譜〉의 저자인 강필리(姜必履:1713~?)의 저작으로 추정된다.

본문은 고구마재배법·구황식물이용법·목양법(牧養法)·수장과실법(收藏果實法)·조국(造麴)·양주(釀酒)·식기(食忌)·조장(造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구마재배법에는 먼저 주저(朱藷)·번저(番藷)·홍산약(紅山藥) 등 고구마의 여러 가지 이름을 소개하고, 고구마의 성질·형태·색·맛·용도·수확량 등 일반적인 특징과 13개 항목에 걸친 고구마재배의 장점을 설명하면서 구황작물로서 널리 권장하고 있다. 재배와 저장법에 대해서는 종법(種法)·경지·점지법(占地法)·옹절법(壅節法)·전경분종법(剪莖分種法)·단별근묘법(斷別根苗法)·장종법(藏種法) 등 파종에서부터 수확 후 저장에 이르기까지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특히 고구마는 저장이 어렵기 때문에 땅에 묻어 저장하는 법, 볏짚에 싸서 온방하여 저장하는 법 등 장종법을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이어서 중국과 일본의 고구마재배에 관한 이야기, 통신사가 본 대마도에서의 재배현황, 표류해온 남경인(南京人)의 고구마에 대한 설명, 일본에 표착했던 제주어민이 본 고구마의 이용과 효과 등이 서술되어 있다. '구황식물이용법'에서는 솔껍질·송진·토란·무·대추·잣·개암·밀·천금초(千金草)·청양미(靑梁米) 등의 이용방법이 소개되어 있다.

목양법에는 양계·양어·양봉에 대한 내용이 수록되어 있고, 수장과실법에는 송자(松子)·밤·대추·배·홍시·비자·능금·석류·포도·감귤 등의 저장법이 설명되어 있다. 그리고 조국·양주에서는 누룩을 만드는 법과 여러 가지 술 만드는 법이 소개되어 있다.

식기에서는 죽을 먹은 후에 백탕을 먹으면 폐에 병이 생기고, 홍시와 술을 함께 먹어서는 안된다는 등 40여 항의 삼가해야 할 내용을 수록하고 있다. 조장에서는 장 담그는 길일과 기일 그리고 생황장(生黃醬) 등 갖가지 장(醬)에 대한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이 책은 고구마재배의 기술적 변천을 밝히는 데 참고가 된다. 서울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조선

조선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감저종식법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