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감신총

다른 표기 언어 龕神塚

요약 남포직할시 와우도구역 신녕리에 있는 고구려 벽화고분.

대연화총이라고도 부른다. 1913년 조사되었다. 감(龕)은 신주를 모시는 닫집인데, 감신총이라 이름한 것은 감실에 그려 있는 인물상을 신상으로 오해한 데서 비롯한 것이다.

고분은 원형봉토이며, 널길[羨道]과 직사각형의 앞방[前室] 및 앞방 좌우벽에 달린 감실, 그리고 정사각형의 널방[玄室]으로 된 두방무덤[二室墳]이다.

널방 천장은 모줄임천장이다. 벽화는 회칠한 벽면 위에 그렸는데 일부만 알아볼 수 있으며, 붉은 선과 묵선, 적·황·청색과 암갈색을 썼다. 벽화내용은 인물 풍속도인데 널길에는 기마인물, 서쪽 감벽에는 묘 주인공과 시자상, 앞방에는 시종·고적대·산악·신선·봉황·구름무늬·연꽃무늬와 기둥을 그렸고, 널방에는 수렵도·소나무·봉황·구름무늬·연꽃무늬 등을 그렸다.

이 벽화고분의 연대는 주인공의 실내생활을 그린 인물풍속도로 미루어보아 고구려 벽화고분 중 이른 시기의 것으로 보이는데, 감이 있는 구조 형식에 따라 4세기 중엽으로 보는 견해와 불교의 영향으로 보이는 연꽃무늬·불꽃무늬 등으로 미루어 5세기 전반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고구려

고구려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멀티미디어 더보기 7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평안남도 용강 감신총 전실 동벽 감 인물상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감신총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