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감각수용기의 특성

다른 표기 언어

각 감각수용기들은 반응을 일으키는 자극의 종류나 구조가 각기 다르지만 공통되는 몇 가지 기본 특성을 갖고 있다.

첫째, 그들은 1가지 형태의 자극에만 그리고 제한된 범위의 강도 안에서만 반응한다. 그런 선택성은 각 수용기가 자신만의 '적절한' 자극을 갖고 있다는 뜻이며 빛은 시각에 대한 적절한 자극이다. 그러나 다른 종류의 에너지도 그 강도가 충분히 크면 수용기들을 자극시키는 경우가 있는데 예를 들어 눈을 세게 때려도 순간적으로 시각을 경험하는 수가 있다.

둘째, 감각수용기세포들은 에너지를 전환하는 변환기의 역할을 한다. 그들은 다양한 형태의 자극에너지를 모두 동일한 형태의 전기신호로 바꾸는데 신경세포와는 달리 일반적으로 활동전위(action potential) 대신에 수용기전위(receptor potential)를 만들어내며 이 수용기 전위는 수용기와 연결되어 있는 감각뉴런에서 비로소 활동전위로 바뀌게 된다. 수용기전위는 실무율을 가진 활동전위와는 달리 자극의 강도에 따라 크기가 변하며, 이러한 크기의 차이는 감각뉴런에서 활동전위의 빈도로 나타난다. 따라서 우리가 인지하는 자극의 강도는 수용기전위의 크기와 수용기나 감각뉴런에서 생성되는 신경충격의 빈도에 비례한다.

셋째, 수용기세포는 보통 시냅스를 통해서 2번째, 3번째 또는 그 이상되는 여러 단계의 구심성 뉴런(afferent n#128n)과 연결되고 신경충격은 이들의 축색을 통해 결국 대뇌피질까지 도달하게 된다. 뇌의 각 부위는 각 감각정보를 해석하는데 특수화되어 있고 각 감각뉴런들은 자신이 받은 정보를 해부학적으로 서로 분리된 특정한 신경로를 통해 뇌나 척수의 특정 부위로 전달한다. 정보의 종류를 구별하는 우리의 능력은 어떤 감각뉴런과 어떤 개재뉴런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그것이 뇌나 척수의 어느 부위에 도달하는가에 달려 있다. 따라서 특정 종류의 감각에 민감한 세포나 그와 연결된 세포를 인위적으로(전기적으로) 자극해도 자연상태와 동일한 반응을 유도할 수 있다.

넷째, 감각수용기나 감각뉴런들은 같은 크기의 자극이 계속되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그에 대한 반응이 점차 감소되거나 충격발사가 완전히 사라지기도 하는데 이를 감각순응이라 한다. 감각에 따라 순응이 빨리 일어나는 것과 거의 순응이 일어나지 않는 것이 있는데 후각이나 촉각은 전자에 해당되고 근방추에 있는 신장수용기는 후자에 해당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생물

생물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감각수용기의 특성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