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갈리아 성가

다른 표기 언어 Gallican chant

요약 5~9세기 프랑크족이 살던 갈리아 지방에서 사용된 로마 가톨릭 교회 예배음악.

학자들에 따르면 서유럽 국가들은 5세기말까지 단순하고 통일된 예배의식을 사용했고 6세기에 들어와서야 갈리아 교회들이 동양의 전통을 가미한 자기들 나름대로의 예배와 성가를 발전시켰다고 한다.

서방교회의 예배의식을 통일하려는 로마 교황청의 요구에 따라 프랑크 왕 피핀 3세(768 죽음)와 샤를마뉴 대제(814 죽음)는 로마 가톨릭 교회의 편을 들어 갈리아 교회의 예배의식을 억압하였다.

갈리아 성가 필사본은 현존하는 것이 없지만 성(聖) 금요일에 연주되는 그레고리오 성가에서 그 흔적을 찾을 수 있고, 〈임프로페리우스 Improperia〉·〈신도의 십자가 Crux fidelis〉·〈입들아 찬양하라 Pange lingua〉 등이 그 예이다.

로마 가톨릭 교회 예배 의전에 포함되어 있는 이러한 갈리아 성가는 현대까지 전해내려온 그레고리오 성가가 로마 가톨릭 교회의 요소와 프랑크 왕국 교회의 요소들이 합쳐져 형성된 것이라는 이론을 뒷받침하고 있다.

현존하는 갈리아 성가를 보면 C음에서 끝나는 성가의 음을 길게 끄는 경향이 있고 C-D-E 또는 C-E-G로 된 선율형들이 많으며 E음을 흔히 낭송음(reciting note : 가락의 처음과 끝을 제외한 음으로, 같은 음높이로 '낭송'하듯 부르는 음. 초기 단성성가의 소박한 형태들에서 많이 나타남)으로 사용하는 등의 특징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종교

종교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갈리아 성가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