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갈겨니

다른 표기 언어 Zacco temmincki 동의어 안흑어, 眼黑魚, 눈검정
요약 테이블
분류 척추동물 > 조기어강 > 잉어목 > 잉어과
원산지 아시아 (일본,대한민국,중국)
서식지 하천
먹이 파리
크기 약 18cm ~ 20cm
학명 Zacco temmincki
식성 잡식

요약 잉어과에 속하는 어종. 일본과 한국, 중국이 원산지이며, 하천에 서식한다. 식성은 잡식이고, 육상곤충이나 수서곤충을 주 먹이로 삼는다. 크기는 약 18~20cm이다.

갈겨니

ⓒ 연합뉴스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개요

조기어강 잉어목 잉어과에 속하는 척추동물. 학명은 ‘Zacco temmincki’이다. 학명의 ‘temmincki’는 네덜란드의 동물학자인 콘라드 제이콥 테밍크의 이름에서 유래한 것이다. 다른 이름으로 안흑어가 있는데, 이는 물고기의 눈이 까맣다고 해서 붙여진 것이다.

형태

몸은 옆으로 납작하고 길며 날씬하다. 입수염은 없고, 뒷지느러미는 특히 크다. 머리와 눈이 크고 비늘은 작다. 등쪽은 녹갈색이고 배쪽은 은백색이며 눈은 검다. 몸의 옆면에는 암색 세로띠가 있다. 수컷은 혼인색이 화려해서, 머리의 배쪽은 적갈색이며 몸의 배쪽은 녹황색 또는 주황색이다. 최대전장 20cm까지 자라지만 18cm 이상 되는 개체는 드물다. 전체적으로 피라미와 아주 흡사한 생김새를 보인다.

생태

산란기는 6~8월이다. 원산지는 일본과 한국, 중국이며, 타이완 등에도 분포한다. 한국에서는 낙동강과 압록강 사이의 하천과 동해로 유입되는 일부 하천에서 발견할 수 있다. 물이 깨끗한 하천 중상류에서 즐겨 살며, 수면에 낙하하는 육상곤충이나 수서곤충류를 주식으로 하는 잡식성이다. 때로는 자신보다 작은 물고기를 먹기도 한다. 사육할 때에는 질병 정도만 신경 써주면 될 정도로 관리가 쉬운 편이다.

종류

갈겨니와 비슷한 종류로는 참갈겨니가 있는데, 참갈겨니는 본래 갈겨니와 같은 종류로 분류되다가 2005년 신종으로 분류되면서 갈겨니와는 유사종의 관계가 되었다. 이 밖에 잉어과에 속하는 다른 생물과로는 납자루아과(Acheilognathinae), 강준치아과(Cultrinae), 피라미아과(Danioninae) 등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멀티미디어 더보기 9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갈겨니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갈겨니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