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가토 히로유키

다른 표기 언어 Kato Hiroyuki , 加藤弘之 , <일>かとうひろゆき
요약 테이블
출생 일본 다지마 구니[丹馬國] 이즈시[出石], 1836. 8. 5
사망 1916. 2. 9, 도쿄
국적 일본

요약 19세기의 근대일본에 서구사상을 도입하는 데 큰 영향을 끼쳤으며, 1868년의 메이지 유신 이후 메이지 신정부 초기의 정책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 일본의 문필가·교육자·정치학자.

일본이 외국과 교류하기 전인 1850년대 후반부터 1860년대 초반에 서양의 학문에 관심을 갖고 공부하였다. 즉 서양학문 연구기관인 반쇼시라베쇼[蕃書調所]에서 일했는데, 1864년 이 기관이 가이세이조[開成所]라는 서양학문 교육기관으로 바뀌자 이곳의 교수가 되었다. 메이지 유신[明治維新]으로 봉건적인 바쿠후[幕府] 체제가 무너진 뒤에는 덴노의 시강(侍講)을 담당하였으며 주로 교육·외교와 관련된 관직을 거쳤다.

그 동안에 〈신세이타이이 眞政大意〉(1870)·〈국체신론 國體新論〉(1874) 등을 저술하여 유럽의 정체(政體)·민주주의·인권 등에 대한 이론을 일본에 소개하였다.

그러나 1880년무렵 자유민권운동(自由民權運動)이 일어나자 입장을 전환하였다. 그는 프로이센이 보여주듯이 국가의 부강(富强)에 민주주의가 꼭 필요한 것은 아니라고 하면서 의회의 개설(開設)이 시기상조라고 주장하였다. 1889년에는 영국이나 프랑스가 아니라 프로이센을 모델로 한 헌법이 발포되었는데, 이 메이지 헌법은 그가 〈인권신설 人權新說〉(1882)에서 주장했던 입장, 즉 인권은 천부(天賦)의 것이 아니라 국가가 부여하는 특권이라는 입장을 기초로 한 것이다.

1890년 도쿄제국대학이 세워지자 초대 총장이 되었고, 1900년 남작 작위를 수여받았으며, 1906년에는 추밀고문관(樞密顧問官)이 되어 국정에 상당한 영향력을 발휘하게 되었다. 또한 독일어 저서 〈강자(强者)의 권리의 경쟁과 진화 Der Kampf ums Recht des Stärkeren und seine Entwickelung〉(1893)를 출판하여 학자로서 국제적인 평판도 얻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학자

학자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가토 히로유키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