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가지무늬토기

다른 표기 언어 동의어 채문토기원저호, 彩文土器圓底壺, 난각형토기, 卵殼形土器

요약 청동기시대의 민무늬토기 가운데 주머니 모양의 토기에 가지무늬가 그려져 있는 독특한 형식의 토기들.

무늬는 대개 토기의 어깨부분에 베풀어졌다. 지금까지 경남 진양 대평리 옥방 1호 집자리, 전남 화순 장학리 2호 고인돌, 경남 밀양 전사포리 돌널무덤, 충북 제원 황석리 고인돌 등지에서 나와 생활유적·무덤에서 고루 출토됨을 알 수 있다. 그밖에 지표조사, 수집된 가지무늬토기들을 통해서 이들이 주로 우리나라 남부지방에 분포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가지무늬는 붉은간토기 위에 그려진 것과 회백색과 밝은 갈색 토기에 그려진 것 2종류가 있는데 대부분은 후자의 색을 띠고 있다. 붉은간토기 위에 그려진 것으로는 황석리와 전사포리의 것이 있다. 또 장학리 출토품처럼 입술 주위가 백갈색이며 몸체 아랫부분은 적갈색을 띤 특이한 경우도 있으며, 이런 점에서 가지무늬토기는 붉은간토기의 한 갈래일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한편 붉은간토기 위에 가지무늬가 베풀어져 있는 경우, 이들은 토기를 굽는 과정에서 불완전연소되거나 그을린 결과로 가지무늬처럼 보이는 것이지 의도한 것은 아니라고 보는 견해도 있다.

가지무늬토기는 황석리·장학리 고인돌과 옥방 1호 집자리의 연대 등을 고려할 때 대체로 BC 6세기경부터 만들어지기 시작해 BC 3세기 이후에 많이 만들어졌을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목·입술이 점차 뚜렷해져 단지[壺]의 모습을 갖춘 토기는 일본 규슈 지방[九州地方] 토기들과 유사한 점이 있어 양 지역의 문화교류·전파관계 등을 짐작할 수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멀티미디어 더보기 4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평남 대동 낙랑 채문토기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가지무늬토기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