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화합물을 AB로, 물분자를 HOH로 표현하면 가수분해 반응식은 AB+HOH?AH+BOH이며, 이는 가역반응이다. 유기화합물의 가수분해 반응에서는 물 이외의 반응물과 반응 생성물은 중성 분자이지만 염·산·염기의 가수분해에서는 이온 분자이다. 에스터와 그밖의 유기화합물이 가수분해할 때의 특징은 화학변화의 속도에 비례해 제3의 물질이 증가하는 것이다. 소화 등의 생화학적 과정에서 분비되는 효소는 분자를 유기체가 흡수할 수 있는 형태로 가수분해하는 촉매 역할을 한다. 리파아제, 아밀라아제, 단백질 분해효소 등은 각각 지방·탄수화물·단백질을 가수분해시키는 촉매이다. 이온화합물의 가수분해의 예로 아세트산소듐 수용액의 화학변화를 들 수 있다.
화합물을 AB로(A와 B는 원자나 원자단), 물분자를 HOH로 표현하면 가수분해 반응식은 AB+HOH⇄AH+BOH이며, 이는 가역반응이다. 유기화합물의 가수분해 반응에서는 물 이외의 반응물과 반응 생성물은 중성 분자이지만 염(鹽)·산(酸)·염기의 가수분해에서는 이온 분자이다.
유기화합물의 가수분해의 예로 카복실시산 에스터와 물의 반응을 들 수 있다. 에스터의 일반식은 RCO-OR′이고, R와 R′은 원자단이다. 예를 들어 R와 R′이 모두 메틸기(CH3)이면 에스터는 아세트산메틸이다. 가수분해는 여러 단계를 거치는데 그중 물분자의 산소원자와 에스터의 탄소원자 사이에 공유결합이 형성되는 단계의 반응속도가 가장 느리다. 다음 단계는 매우 빠른데, 에스터의 탄소-산소 결합이 끊어지고 수소 이온이 원래의 물분자에서 떨어져나와 결합해 알코올 분자가 된다. 이를 식으로 나타내면,
RCO-OR′+H2O→RCO-OH+R′-OH
이다. 여기서 RCO-OH는 카복실산, R′-OH는 알코올 분자이며, 대시(-)는 반응중 끊어지거나 새로 생긴 공유결합을 뜻한다.
에스터와 그밖에 대부분의 유기화합물이 가수분해 반응을 할 때의 특징은 화학변화가 일어나는 것과 같은 속도로 제3의 물질(보통 산 또는 염기)이 증가하는 것이다. 소화와 같은 생화학적 과정에서 소화기관이 분비한 효소는 복잡한 분자를 유기체가 흡수할 수 있는 형태로 가수분해하는 데 촉매 역할을 한다. 단백질은 아미노산으로, 지방은 지방산과 글리세롤로, 녹말과 다당류는 글루코오스와 단당류로 분해된다. 리파아제, 아밀라아제, 단백질 분해효소 등은 각각 지방·탄수화물·단백질을 가수분해시키는 촉매이다.
이온화합물의 가수분해의 예로 아세트산소듐의 수용액에서 일어나는 화학변화를 들 수 있다. 수용액에서 염은 아세트산 이온과 소듐 이온으로 분리되며, 물 분자는 아세트산 이온과 결합하여 아세트산과 히드록시 이온이 된다. 아세트산은 가역적으로 아세트산 이온과 수소 이온으로 분해될 수 있으나 그 양이 매우 적으므로 용액의 이온 성분은 주로 소듐 이온과 히드록시 이온이다. 따라서 용액은 염기성을 띤다(붉은 리트머스 종이가 푸른 색으로 변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