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가락바퀴

다른 표기 언어 동의어 방추차, 紡錘車

요약 실을 잣는 데 쓰이는 가락(실을 감는 나무나 쇠가락)에 끼워 회전을 돕는 바퀴.

방추차라고도 한다. 섬유에 꼬임을 주어 실을 만드는 방적구로서 가장 오래된 형태이다. 토제·석제·골제·도자제 등이 있다. 그 생김새는 원반, 주산알, 공, 원통, 위가 잘린 원뿔모양 등 여러 가지가 있다. 신석기시대부터 사용된 것으로 보이며 청동기시대 집터 유적에서 많이 출토되고 있다.

석기 가락바퀴(청동기시대)

ⓒ 연합뉴스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황해도 봉산군 지탑리, 평안남도 온천군 궁산리, 강원도 양양군 오산리, 경기도 여주군 흔암리, 함경북도 웅기군 서포항동, 충청남도 부여군 송국리 등에서 발굴되었다. 궁산리에서는 뼈로 만든 바늘에 베실이 끼워 있는 채로 출토되어 신석기시대에 이미 원시형태로나마 직조술이 행해졌음을 알려준다. 가락바퀴는 그 가운데에 구멍이 뚫려 있는데, 그 구멍에 가락을 끼워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실 끝을 가락에 맨 다음 가락바퀴를 회전시키면 실이 조이면서 만들어진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멀티미디어 더보기 7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가락바퀴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가락바퀴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