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영화사전

자연주의

다른 표기 언어 naturalism , 自然主義

자연을 유일의 현실로 간주하는 입장. 원래는 철학 용어이지만 1870년 이후 문학, 미술 등 예술 분야를 지배한 사조를 가리킨다. 사실주의가 있는 그대로의 현실을 묘사, 제시하고자 하였다면 자연주의는 대상을 자연과학자 또는 박물학자의 눈으로 분석, 관찰, 검토, 보고하는 것이다. 이 용어는 모든 자연 현상은 과학적으로 논증될 수 있다는 철학의 한 분파를 설명해 주며 또한 개인의 운명은 자유 의지가 아니라 유전과 환경에 의해 주로 결정된다는 것을 강조하면서 인물에 대한 과학적 접근을 발전시켰던 문학의 학파를 설명하기도 한다. 그 결과 자연주의 작가들은 인물이 어느 정도 야만적인 속성을 가지고 있다고 설정하면서 개인을 내적 혹은 외적 힘의 희생자로 그린다.

자연주의는 야비한 일상적 현실을 묘사한 극단적 사실주의의 한 형식이다. 프랑스 소설가 에밀 졸라(Emile Zola)가 이러한 학파의 중요 인물이었고 졸라를 추종한 사람들로는 영국의 소설가 에드워드 무어(Edward Moore), 조지 기싱(George Gissing), 미국 작가 프랭크 노리스(Frank Norris)와 시어도어 드라이저(Theodore Dreiser)가 있다. 문학의 이러한 유형은 영화에도 영향을 미쳤다.

에리히 폰 슈트로하임(Erich von Stroheim)은 프랭크 노리스의 『맥티그』(McTeague, 1899)를 영화화해서 〈탐욕〉(Greed, 1924)을 만들었다. 〈탐욕〉은 사실주의적인 인물, 이야기, 장식을 내세운 영화사의 획기적인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많은 갱스터 영화들과 필름 누아르 작품들 또한 비열한 세계의 인간 본성에 대한 시각을 드러내기 때문에 자연주의 영화로 평가받는다. 프리츠 랑(Fritz Lang)의 〈빅 히트〉(The Big Heat, 1953)와 사무엘 풀러(Samuel Fuller)의 〈남쪽 거리에서 태우기〉(Pickup on South Street, 1953)가 그러한 작품들이다. 루이스 부뉴엘(Luis Bunuel)의 〈버려진 아이들〉(The Young and the Damned, 1950)은 멕시코 어린이들이 처해 있는 불건전한 환경의 유해한 영향을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다분히 자연주의적이다.

〈탐욕〉(Greed, 1924), 감독: 에리히 폰 슈트로하임(Erich von Stroheim)

ⓒ 프로파간다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김광철 집필자 소개

1963년생. 영화 주간지 <FILM2.0>을 비롯해 여러 영화 잡지에서 일했다. 2007년부터 시각문화 전문지 계간 <GRAPHIC> 에디터 겸 발행인으로 활동하고 있으며..펼쳐보기

장병원 집필자 소개

1972년생. 2000~2008년 영화 주간지 <FILM2.0> 기자와 편집장을 지냈다.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영상예술학과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명지대학교 영화뮤지컬학부 영화학..펼쳐보기

출처

영화사전
영화사전 | 저자김광철 외 | cp명프로파간다 전체항목 도서 소개

영화의 모든 것. 100여 년간 형성된 영화를 둘러싼 다양한 층위들, 즉 제작, 기술, 개념, 역사, 미학, 산업, 이론 등 광범위한 영역을 포괄하는 용어들을 선별하여..펼쳐보기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영화

영화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자연주의영화사전, 김광철 외, 프로파간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