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1] 사진적인 처리 과정에 의해 스크린상에 나타나는 장면의 시각적인 재현. 이런 의미에서 이 용어는 일정한 화면 사이즈와 카메라 앵글로 구성된 낱장의 그림을 뜻하는데 그것이 비록 일련의 프레임으로 구성되었거나 카메라 움직임을 포함하고 있을 때도 마찬가지이다. 각각의 개별 이미지 그리고 그 이미지들이 연관을 맺는 방식이 영화적인 표현의 기본이 된다. 이 이미지는 인물, 연기, 세팅을 보여 주도록 구성되어야 함은 물론, 관객들의 감정을 끌어낼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동시에 각각의 이미지는 자연스럽고 리드미컬한 운동감과 작품 전반에 걸친 시각적인 완성도에 부합해야 한다. 감독은 프로덕션 디자이너, 촬영 감독과 함께 이미지를 고안하고 만들어낸다. 종종 뛰어난 촬영 감독은 영화의 시각적 이미지에 자신만의 특징과 빛과 화면의 질감을 새겨 넣는데 감독은 이러한 시각적 스타일의 장점을 취하여 어떻게 자신의 영화적 맥락 속에 집어넣을 것인지 숙고하게 된다. 화면의 구성, 조명, 색감, 화면 사이즈와 앵글, 필름이라는 재료 그 자체의 성질과 느낌 등 다양한 요소들이 영화 이미지를 만들어낸다.
[2] 필름 그 자체 위에 사진적으로 그려 넣어지는 재현.
[3] 일반적으로 청각과는 반대되는 영화 전체의 시각적인 양상.
[4] 이미지라는 용어는 인물이나 장면이 그 자체의 의미를 넘어 상징이나 은유로서 무언가를 재현해 낼 때 수사적인 의미로 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미국 배우인 제임스 캐그니(James Cagney)는 1930년대 자신이 출연한 영화에서 좌절한 심리 상태, 가난이 주는 불안, 성공에 대한 갈망의 '이미지'를 보여 줬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글
영화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