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영화의 지식을 재생산하는 이론 작업. 따라서 영화 분석은 정보를 주고 최소한의 미적 판단을 제공하는 저널식의 영화 비평과 다르다. 영화 분석이 인상적인 영화 비평이나 해석적인 담론과 구별되려면 분석의 원칙과 방법이 필요하다. 영화 분석의 원칙과 방법이 자연과학과 인문과학 같은 엄밀한 기준을 요하는 것은 아니지만, 영화 분석을 위해서는 몇 가지 수단이 필요하다. 영화 분석의 방법은 먼저 영화를 한 편의 텍스트로 사고하는 구조주의적인 분석이 있다. 또한 이야기의 구조와 테마를 분석하는 내러티브 분석, 이미지와 사운드 분석, 정신분석학과 기호학을 통한 영화 분석 등의 방법이 있다.
이야기 분석은 롤랑 바르트(Roland Barthes), 움베르토 에코(Umberto Eco)와 같은 기호학자의 논의를 빌려 주로 대중 영화 분석에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 비디오의 등장과 더불어 영화 이미지와 사운드를 특정한 시퀀스를 설정해 데쿠파주(découpage) 혹은 쇼트 바이 쇼트(shot by shot)를 통해 정밀한 분석을 하기도 한다. 정밀 분석의 사례로는 세르게이 에이젠슈테인(Sergei Eisenstein)이 스스로 〈알렉산더 네프스키〉(Aleksandr Nevsky, 1938)의 이미지와 사운드를 분석한 것이나 F. W. 무르나우(F. W. Murnau)의 영화 〈파우스트〉(Faust, 1926)에 대한 에릭 로메르(Eric Rohmer)의 분석 등을 들 수 있다.
정신분석학적인 분석은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 자크 라캉(Jacques Lacan) 등의 이론을 바탕으로 영화에 숨겨진 의미를 찾는 데 치중한다. 알프레드 히치콕(Alfred Hitchcock)의 영화에서 관음증과 절시증을 읽어내는 분석이 정신분석학적인 분석의 탁월한 예로 손꼽힌다. 주류 영화에서 남성 중심적인 가부장제 이데올로기를 파헤치며 여성주의적인 독해를 이끌어낸 페미니스트들의 분석과 성차와 섹슈얼리티 문제를 제기하면서 이성애주의에 비판을 가하는 퀴어적인 분석 또한 최근 각광을 받고 있다.
하지만 영화 분석이 진정한 학문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의문이 남는다. 영화 이론이 다른 학문에서 적용되거나 발전돼온 이론을 바탕으로 형성된 것이기 때문에 통합된 영화 이론이 존재하지 않을뿐더러 영화 분석의 일반적인 방법 또한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영화 분석이 여전히 의미 있는 이유는 영화를 다시 보고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소비적인 즐거움이 아니라, 지식에 기반을 둔 진정한 재독해의 즐거움을 만끽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글
영화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