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영화사전

연기

다른 표기 언어 acting , 演技

영화에서 행동, 표정, 행위 전체를 통해서 한 인물을 해석하고 그 인물을 꾸며내는 일. 연극 무대에서는 배우가 인물에 대한 자신의 해석을 직접적으로 관객에게 전달하는 데 반해 영화에서의 연기는 카메라, 편집, 사운드 트랙 등을 통해서도 전달하며 이 같은 수단들은 연기를 강화하고 변형시키며 경우에 따라서는 약화시키기도 한다.

영화의 장면들은 쇼트 단위로 찍을 뿐만 아니라 한 쇼트를 여러 번 찍기도 하며 재정적인 이유나 촬영 일정 때문에 보통 이야기 순서대로 찍지 않는다. 이같이 연속성이 파괴된 상황에서 배우는 무대 연기자와는 다른 문제들과 직면한다. 영화를 위해 배우는 카메라 앞에서, 그것도 아주 근접한 거리에서 연기를 하기 때문에 그의 모든 제스처와 동작이 감상자의 눈앞에 드러나고, 또 음성은 마이크로폰으로 녹음되기에 작은 숨소리와 음성의 변화까지도 포착된다. 따라서 연극 무대 연기자가 연기하며 발성하는 것과는 달리 보다 자연스럽고 섬세한 양식이 요구된다.

영화 연기는 과장되고 연극적인 무성 영화의 표현 방식이 발전해 온 것으로 볼 수 있다. 점차 배우들은 자연스럽고 사실적으로 연기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미숙한 연기자라도 편집의 힘을 빌려 그럴듯하게 보여 줄 수 있게 되었지만, 배우들은 영화라는 새로운 예술 양식을 통해서도 여전히 무대의 영향을 받아왔고 또 소리를 사용하지 않고 감정과 사고를 표현하도록 요구받는다.

D. W. 그리피스(D. W. Griffith)는 인물 캐스팅, 카메라 움직임, 세심한 연출을 통해 무성 영화에 '그럴듯함'을 부여하려고 노력한 감독이다. 물론 오늘날의 시각에서 보면 그의 영화들에서 배우들의 연기는 상당히 양식화되어 보인다. 좀 더 자연스러운 '영화적'연기는 그 후 에리히 폰 슈트로하임(Erich von Stroheim)과 F.W. 무르나우(F.W. Murnau)의 영화에서 성취되었다. 아울러 음향이 영화에 도입되면서 비로소 배우들은 표정이나 제스처, 신체 동작을 부자연스럽게 강조하는 연기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하지만 1930년대와 1940년대의 영화를 보면 여전히 양식적인 연기와 과장 연기가 눈에 띈다. 영화 연기가 보다 자연스럽고 사실적인 방향으로 나아갈 힘을 얻은 것은 1940년대 말에서 1950년대 초, 이탈리아 네오리얼리즘과 뉴욕 액터스 스튜디오(Actors Studio)가 신선한 충격을 몰고 온 무렵이었다.

액터스 스튜디오와 관계를 맺고 있던 말론 브랜도(Marlon Brando)와 제임스 딘(James Dean)의 연기는 이런 맥락에서 아주 중요한 것이었으며 그 후 더스틴 호프먼(Dustin Hoffman), 알 파치노(Al Pacino), 로버트 드 니로(Robert De Niro) 등이 액터스 스튜디오의 영향을 받았다. 오늘날 산업적으로 만들어지는 대형 상업 영화는 커다란 경제적 부담을 지기 때문에 주도면밀한 사실적인 연기보다는 전 세계 평균적인 관객에게 어필할 수 있도록 연기의 시각적 효과와 젊은층 위주의 특성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 여기서 예외로 들어야 할 것은 영국이 낳은 일군의 뛰어난 배우들, 앤터니 홉킨스(Anthony Hopkins), 대니얼 데이 루이스(Daniel Day Lewis), 랠프 파인즈(Ralph Fiennes) 등이다.

연기 폭이 넓고 감수성이 풍부한 여배우에는 메릴 스트립(Meryl Streep), 미셸 파이퍼(Michelle Pfeiffer), 줄리앤 무어(Julianne Moore) 등이 있다. 최근에는 여배우들이 자신의 개성을 살릴 기회가 줄어들고 있으며 대체로 뻔한 역을 맡을 수밖에 없는 형편이다. 예외적으로 미국의 조디 포스터(Jodie Foster)나 영국의 엠마 톰슨(Emma Thompson) 등은 영화 제작 과정을 통해 자신의 목소리를 분명히 하면서 독창적인 입지를 만들어가는 배우들이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김광철 집필자 소개

1963년생. 영화 주간지 <FILM2.0>을 비롯해 여러 영화 잡지에서 일했다. 2007년부터 시각문화 전문지 계간 <GRAPHIC> 에디터 겸 발행인으로 활동하고 있으며..펼쳐보기

장병원 집필자 소개

1972년생. 2000~2008년 영화 주간지 <FILM2.0> 기자와 편집장을 지냈다.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영상예술학과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명지대학교 영화뮤지컬학부 영화학..펼쳐보기

출처

영화사전
영화사전 | 저자김광철 외 | cp명프로파간다 전체항목 도서 소개

영화의 모든 것. 100여 년간 형성된 영화를 둘러싼 다양한 층위들, 즉 제작, 기술, 개념, 역사, 미학, 산업, 이론 등 광범위한 영역을 포괄하는 용어들을 선별하여..펼쳐보기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영화

영화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연기영화사전, 김광철 외, 프로파간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