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영화사전

시네마서비스

다른 표기 언어 Cinema Service

강우석이 1995년에 설립한 영화 제작, 배급사. 서울 관객 22만 명을 동원한 〈미스터 맘마〉(1992)로 흥행사가 된 강우석 감독이 1993년 자본금 5천만 원으로 시네마서비스의 전신 강우석 프로덕션을 차렸다. 강우석 프로덕션은 1993년 〈투캅스〉 단 1편으로 전국 88만 명의 관객을 동원한 뒤 〈마누라 죽이기〉(1994)가 대성공을 거두자 1995년 8월 영화 제작·배급사인 시네마서비스를 출범시킨다. 이것이 1960년대 신필름의 맥을 잇는 기업형 영화사 시네마서비스의 출발이었다.

제작에 있어 탄탄한 노하우를 가지고 있던 강우석 감독은 자본 규모로나 배급력에 있어 당시 충무로의 돈줄이 되었던 대기업이나 극장을 소유하던 충무로 토착 자본에 비해 열세였다. 그는 열세를 만회하기 위해 단일 극장 규모로는 최고로 연간 전국 관객의 5% 이상을 동원하던 서울극장의 곽정환과 제휴 관계를 맺고 이창동 감독의 〈초록물고기〉(1997), 송능한 감독의 〈넘버 3〉(1997), 김성홍 감독의 〈올가미〉(1997) 등을 배급한다.

1997년 말 IMF가 터지면서 대기업 자본이 빠져 나가자 제작 편수가 줄고, 제작비가 상승한 한국 영화는 수익성이 떨어졌다. 하지만 시네마서비스는 1997년 4편, 1998년 6편, 1999년 8편의 한국 영화를 투자, 배급했고 배급 물량을 채우기 위해 1999년부터 부분적으로 외화 수입, 배급도 겸했다. IMF 이후 대기업 자본에서 금융 자본으로 재편되는 사이, 시네마서비스는 투자, 배급작을 늘리는 공격적인 경영으로 시장을 선점했다. 마침내 활황 국면에 접어든 2000년 이후 시네마서비스가 시장의 유리한 고지를 선점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시네마서비스는 2000년 한국 영화 최초로 워버그 핀커스라는 벤처 회사로부터 외자 유치에 성공했으며, 2001년에는 제1금융권인 하나은행의 투자를 받았다. 2002년에는 플레너스 엔터테인먼트로 합병돼 시가 총액 5천억 원이 넘는 국내 최대의 종합 엔터테인먼트사로 발돋움했다. 2001년과 2002년 배급사별 시장 점유율 1위를 내놓지 않았던 시네마서비스는 2003년 게임 유통 업체 넷마블과의 합병에 따른 경영진들의 이견과 부실했던 시장 점유율로 위기를 맞는 듯했다. 하지만 강우석 감독은 자신이 연출한 〈실미도〉(2003)로 돌파구를 맞는다. 〈실미도〉는 한국 영화 최초로 단일 영화 1천만 명을 넘는 흥행 기록을 세웠으며, 이는 시네마서비스가 플레너스에서 독립해 독자 법인으로 분리하는 절차를 순조롭게 했다. 시네마서비스는 할리우드 직배 영화로 위기에 처해 있던 한국 영화계가 영화인, 충무로 토착 자본을 중심으로 산업화를 맞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한 제작·배급사로 평가받을 만하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김광철 집필자 소개

1963년생. 영화 주간지 <FILM2.0>을 비롯해 여러 영화 잡지에서 일했다. 2007년부터 시각문화 전문지 계간 <GRAPHIC> 에디터 겸 발행인으로 활동하고 있으며..펼쳐보기

장병원 집필자 소개

1972년생. 2000~2008년 영화 주간지 <FILM2.0> 기자와 편집장을 지냈다.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영상예술학과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명지대학교 영화뮤지컬학부 영화학..펼쳐보기

출처

영화사전
영화사전 | 저자김광철 외 | cp명프로파간다 전체항목 도서 소개

영화의 모든 것. 100여 년간 형성된 영화를 둘러싼 다양한 층위들, 즉 제작, 기술, 개념, 역사, 미학, 산업, 이론 등 광범위한 영역을 포괄하는 용어들을 선별하여..펼쳐보기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영화

영화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시네마서비스영화사전, 김광철 외, 프로파간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