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영화사전

뉴저먼 시네마

다른 표기 언어 New German Cinema

1960년대 말부터 1970년대에 걸쳐 독일에서 일어난 영화 운동. 2차 세계대전 후 독일 영화는 침체에 허덕이고 있었는데 60년대 영화 산업 외부에서 활동하던 일련의 젊은 영화인들에 의해 독일 영화가 부흥된 것을 가리키는 용어이다. 일반적으로 뉴저먼 시네마의 뿌리는 1962년 오버하우젠 단편 영화제에 모였던 26인의 젊은 영화감독이 발표한 오버하우젠 선언(Oberhausen Manifesto)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들은 기존의 낡은 독일 영화 산업에 사망 선고를 내리고 기존 산업에 만연된 관습으로부터의 자유, 상업적 구속으로부터의 자유를 선언하였다. 이 선언은 언론과 정책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쳐 1965년 2월 청년독일영화관리국(Kuratorium Junger Deutscher Film)이라는 기구가 설립되었다.

이 기구는 독일 영화 제작을 자극하고 독일 영화의 혁신을 유도하기 위해 젊은 영화 작가들이 영화를 제작하는 데 필요한 자금을 융자해 주었다. 1966~1967년 동안 관리국은 총 26편의 장·단편 영화를 지원했고 그중 알렉산더 클루게(Alexander Kluge)의 〈어제와의 고별〉(Abschied von Gestern, 1966)은 1966년 베니스 영화제에서 심사위원 특별상, 에드가 라이츠(Edgar Reitz)의 〈식사 시간〉(Mahlzeiten, 1966)은 1967년 베니스 영화제 신인 감독상을 받았다. 이들은 모두 오버하우젠 선언의 주요 인물이었다. 또 텔레비전 방송사의 영화 제작 지원도 뉴저먼 시네마의 제작 기반이 되었는데 국가에 의해 운영되던 당시 독일 텔레비전 방송사들은 시청률이 떨어지는 영화에 투자하고 방송할 수 있었다.

또 영화 작가를 양성하기 위한 영화 학교가 설립되기도 했다. 아울러 영화 작가들이 상업적 배급 메커니즘 없이도 영화관에서 작품을 상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1971년 13명의 감독이 연합하여 작가영화제작사(Filmverlag der Autoren)를 조직하였다. 초기 이 조직은 창립자들의 협동 제작사였지만 1973년 이후에는 배급에만 전력했다. 이 단체의 발기인 중에는 빔 벤더스(Wim Wenders), 라이너 베르너 파스빈더(Rainer Werner Fassbinder), 우베 브란트너(Uwe Brandner)가 있었다.

뉴저먼 시네마와 연관된 대표적인 감독으로는 파스빈더, 벤더스, 베르너 헤어조크(Werner Herzog), 폴커 슐뢴도르프(Volker Schlöndorff), 장 마리 스트로브(Jean-Marie Straub), 한스 위르겐 지버베르크(Hans-Jürgen Syberberg), 알렉산더 클루게 등이며 그중 벤더스의 〈미국인 친구〉(Der Amerikanische Freund, 1977), 〈사물의 상태〉(Der Stand der Dinge, 1982), 헤어조크의 〈침묵과 어둠의 대지〉(Land des Schweigens und der Dunkelheit, 1971), 〈아귀레, 신의 분노〉(Aguirre, der Zorn Gottes , 1972), 파스빈더의 〈사계절의 상인〉(Der Händler der Vier Jahreszeiten, 1972), 〈마리아 브라운의 결혼〉(Die Ehe der Maria Braun, 1979) 등이 국제적인 평가를 얻어 뉴저먼 시네마의 황금 시대를 열었다. 아울러 슐뢴도르프의 〈양철북〉(Die Blechtrommel, 1979)과 벤더스의 〈파리 텍사스〉(Paris, Texas, 1984)는 1979년과 1984년 칸영화제 황금 종려상을 수상했다.

〈미국인 친구〉(Der Amerikanische Freund, 1977), 감독: 빔 벤더스(Wim Wenders)

ⓒ 프로파간다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김광철 집필자 소개

1963년생. 영화 주간지 <FILM2.0>을 비롯해 여러 영화 잡지에서 일했다. 2007년부터 시각문화 전문지 계간 <GRAPHIC> 에디터 겸 발행인으로 활동하고 있으며..펼쳐보기

장병원 집필자 소개

1972년생. 2000~2008년 영화 주간지 <FILM2.0> 기자와 편집장을 지냈다.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영상예술학과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명지대학교 영화뮤지컬학부 영화학..펼쳐보기

출처

영화사전
영화사전 | 저자김광철 외 | cp명프로파간다 전체항목 도서 소개

영화의 모든 것. 100여 년간 형성된 영화를 둘러싼 다양한 층위들, 즉 제작, 기술, 개념, 역사, 미학, 산업, 이론 등 광범위한 영역을 포괄하는 용어들을 선별하여..펼쳐보기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영화

영화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뉴저먼 시네마영화사전, 김광철 외, 프로파간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