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광고사전

언어유희

다른 표기 언어 play on words , 言語遊戱 동의어 말장난, 말재롱
언어유희

ⓒ Flotsam/Shutterstock.com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어떤 의미를 암시하거나 전달하기 위해 말이나 단어, 문자 등을 해학적으로 사용하는 표현. 동음이의어를 재치 있게 구사하거나 유사 발음을 이용하는 것이 대표적이다. 단순한 말장난에 머물기도 하지만 날카로운 풍자와 기지를 표현하는 수단이 되기도 한다. 광고에서 언어유희는 소비자 주의를 끌어당기면서 광고 내용을 쉽게 이해시키기 위한 도구로 광범위하게 쓰인다. 이 중 가장 보편적인 형태는 상표 이름과 관련한 단어를 절묘하게 이용하는 것으로 "내 입에 안성맞춤, 농심 안성탕면", "캐내십시오, 케토톱", "이가 튼튼 이가탄", "알 만한 사람은 다 아는 알마겔" 식의 표현을 말한다. 그 목적은 소비자에게 상표와 상품 속성을 보다 쉽게 기억시키려는 것이다. 언어유희를 사용할 때 광고제작자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언어와 상표 의미의 관계를 밀접하게 유지시키는 것인데 이것이 충분하지 않으면 오독이 발생하는 부작용을 낳는다. 청소년 대상으로 하는 광고에 그들만의 비문법적 표현과 은어가 상당수 등장하는 것이 최근 언어유희의 뚜렷한 경향이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김광철 집필자 소개

1963년생. 영화 주간지 <FILM2.0>을 비롯해 여러 영화 잡지에서 일했다. 2007년부터 시각문화 전문지 계간 <GRAPHIC> 에디터 겸 발행인으로 활동하고 있으며..펼쳐보기

출처

광고사전
광고사전 | 저자김광철 | cp명프로파간다 전체항목 도서 소개

인터넷 시대의 새로운 광고사전. 1550 여 개의 광고 용어를 새로운 감각으로 정리했다. 용어의 단순한 정의를 넘어 광고현장의 실제 사례를 풍부하게 끌어들여 살아있는 ..펼쳐보기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광고

광고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언어유희광고사전, 김광철, 프로파간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